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대물림’ 의 정수 보여준 왕회장과 MK
홍길용기자의 貨殖列傳
21일은 현대그룹 창업자인 고(故) 정주영 명예회장의 13번째 기일이다. 굳이 이날을 꺼내는 이유는 14일 현대제철 등기임원직을 내려 놓은 정몽구 현대기아차 회장(MK) 때문이다.

정 명예회장은 생전에 일관제철소를 짓겠다는 꿈을 가졌지만, 끝내 이루지 못했다. MK는 이같은 선친의 꿈을 이루기 위해 한보철강을 인수했고, 2005년부터는 아예 현대제철 등기임원을 맡아 고로 건설을 직접 지휘했다. 그리고 지난 해 고로3기 가동으로 일관제철소가 완성되자 등기임원 직을 내놓았다. 정 명예회장의 13주기는 ‘일관제철소 건설 ’이라는 꿈의 대물림이 이뤄졌다는 의미가 크다.

눈에 보는 것으로는 일관제철소가 가장 크지만, 사실 정 명예회장과 MK 간에는 보이지 않는 부전자전이 많다.

MK는 얼마전 사흘간 유럽 4개국을 도는 ‘살인적인’ 일정을 소화했다. 내달 77세 희수(喜壽)가 되는 현역 최고령 재벌총수라고 믿기 어려울 정도다. 정 명예회장도 생전 전세계 현장 곳곳을 직접 발로 누빈 것으로 유명하다.

오래 입어 반질반질해진 MK의 양복도 선친과 닮았다. 정 명예회장도 생전 와이셔츠가 헤지면 소맷단만 바꿔 입곤 했다. 주변에서 “새로 장만하시라”라고 하면 “아직 입을만하다”며 손사래 치는 것도 부자가 꼭 같다고 한다. 정 명예회장이 살던 청운동 자택은 삐그덕거리던 마루와 낡은 가구 뿐이었다. 침실에도 침대 하나, 책상 하나가 전부였다. MK의 자택은 아직 공개된 적이 없지만, 선친과 마찬가지로 화려함이나 사치와는 거리가 멀다는 게 주변의 설명이다.

유달리 크고 거친 MK의 손은 선친의 모습을 가장 짙게 떠올리게 한다. 현대그룹이 대기업이 된 것은 MK가 성인이 된 지 한참 뒤다. MK는 직접 삽질까지 선친을 도왔다. 거친 손에는 부자간 동고동락의 추억이 배어 있다. MK는 말이 2세지, 실제로는 창업 세대다.

대기업 총수들이 최선의 삶을 위해 노력하는 이유는 돈 때문이 아니다. 꿈을 이루기 위해서다. 큰 기업을 만들어, 더 많이 일자리를 만들고, 나라에 기여하기 위해서다. 기업가 정신(entrepren eurship)의 핵심이다. 돈은 꿈의 결과일 뿐이다.

미국인들은 록펠러나 카네기를 위인으로 칭송한다. 그런데 우리는 ‘재벌’이란 말 탓인지 기업인 칭찬에 인색하다. 이번 정 명예회장의 기일엔 재계 모두가 기업가 정신을 기리며 잠시 묵념하는 게 어떨까. 또 내달 MK의 희수연에도 다함께 박수를 보내봄 직도 하다.

kyho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