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금오공대 교수 연구비 횡령 수사 확대, “관련 법령 제정” 목소리도
[헤럴드경제=김상일(대구) 기자]감사원 고발로 불거진 국립 금오공과대학(총장 김영식) 교수 연구비 횡령 수사가 확대되고 있어 관련 법령 제정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경북 구미경찰서는 지난 7일 연구비 횡령 혐의를 대부분 인정한 응용수학과 A(43) 교수 뿐만 아니라 비슷한 혐의가 포착된 교수 10명 이상의 관련 서류도 압수해 조사를 벌이고 있다고 10일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A 교수는 지난 2010년 10월부터 2년간 정부의 국비지원 사업으로 내려온 교내학술연구비 ‘신진교수장려 연구비’ 2000만원을 지원받아 관련 연구를 진행해 왔다. 이어 중학교 수학교사 아내 B(41) 씨를 석사학위를 지닌 연구보조원 C 씨로 위장해 월 40만원씩 모두 960만원을 가로챘다.

A 교수는 개인적으로 쓴 외식비 등 카드사용료도 연구관련 회의 때 쓴 것처럼 지출서류를 꾸며 114만원을 가로챘다.

A 교수 횡령은 지난해 11월 감사원 정기 감사에서 적발돼 횡령금액을 모두 반납하고 징계를 받았다.

구미경실련은 지난 외환위기 사태 이후 심화된 양극화와 고용불안으로 부부 교사가 중소기업 사장에 비유될 정도로 부러움의 대상이 됐다고 지적했다.

구미경실련 관계자는 “고등 교육자로서 횡령 사건이 알려진 이후에도 제자들 앞에 서서 강의를 한다는 게 양심적으로 가능한 일인지 참으로 의문스럽고 기가 찰 노릇”이라며 “이번 사건은 관행으로 알려진 교수들의 ‘제자 인건비 착복’과 달리 안정적 직종인 교사 아내를 허위 등록해 착복했다는 점에서 금오공대의 신뢰에 치명적”이라고 강조했다.

구미경실련 관계자는 “이번 금오공대 교수 연구비 횡령 사건을 계기로 ‘연구비 횡령 등 지역 이미지를 실추시킨 사건’을 추가해 구미 뿐만 아니라 구미시 예산을 지원받는 대구ㆍ경북 모든 대학에 적용하는 ‘지역대학 지원예산 벌칙(Penalty) 조례’를 제정할 것을 구미시에 촉구한다”고 했다.

smile56789@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