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미래부ㆍ중기청 ‘글로벌 엑셀러레이터’ 본격 육성
[헤럴드경제=이슬기 기자]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와 중소기업청(청장 한정화)은 6일 오후 최문기 미래부 장관 주재로 열린 제7차 창조경제 위원회에서 ‘글로벌 액셀러레이터 육성 계획’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액셀러레이터’는 스타트업(초기기업)의 성공을 가속하는 역할을 하는 민간 전문기관 또는 기업을 의미한다. 초기 창업자를 발굴해 투자하고, 6개월 내외의 짧은 기간에 성공적인 제품을 만들도록 멘토링을 제공한다.

미국의 와이컴비네이터(Y-Combinator)를 비롯, 전 세계에 2000겨개 이상의 엑셀러레이터가 활동을 하고 있으며, 구글, 코카콜라, 나이키 등 해외 글로벌 대기업이 참여하는 기업형 엑셀러레이터의 운영도 점차 확산하고 있다.

이날 미래부와 중기청은 ▷국내 액셀러레이터 전문역량 강화 ▷액셀러레이터 협업체계 확충 ▷국내 액셀러레이터 성장 기반 구축 등을 주요 엑셀러레이터 육성 방향으로 제시했다.

이에 따라 우선 미래부와 중기청은 국내 액셀러레이터가 해외 유수 액셀러레이터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국내 스타트업을 공동으로 발굴ㆍ육성토록 지원하고, 산업분야별ㆍ스타트업 성장단계별 특화 프로그램을 만들어 전문역량을 키울 예정이다.

또 올해 설립 예정인 지역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해 지역별 특성화도 추진한다.

대기업ㆍ선도벤처기업과 액셀러레이터의 협업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대기업ㆍ선도벤처가 직접 스타트업을 발굴ㆍ육성하는 ‘창업기획사’를 운영하도록 지원하고, 대기업 수요에 맞춘 연계형 액셀러레이터 프로젝트 등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기로 했다.

아울러 액셀러레이터가 벤처캐피털이나 창업보육센터 등 기존 창업 지원기관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스타트업 투자ㆍ보육을 연계하도록 하고, 공모전 등에서 선발된 스타트업이 액셀러레이터의 멘토링을 받아 해외에 진출하면 전문 컨설팅을 제공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양 부처는 이달 중으로 ‘액셀러레이터 전문 협의회’를 구성해 창업 성공 비법을 공유하고 공동투자 방안을 모색하는 등 협력의 장을 마련할 예정이다. 액셀러레이터육성에 필요한 법ㆍ제도 마련 방안도 논의할 방침이다.

중기청 관계자는 “이번 계획의 세부 과제를 조속히 시행하는 한편, 지속적으로 ‘민관합동 창조경제추진단’과 협력해 제도개선 과제를 발굴하고 대기업ㆍ선도벤처들의 참여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yesyep@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