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국내 대형항공사, 일본 노선 감편 나선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 등 국내 대형 항공사들이 일본 노선 감편에 나섰다. 엔저와 한ㆍ일 관계 악화, 저가 항공사의 시장점유율 확대에 두 손을 든 셈이다.

9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아시아나항공은 오는 21일부터 부산~오사카 노선 운항을 중단한다. 아시아나항공은 최근 국토교통부로부터 매일 2회 운항하던 이 노선의 운항 중단을 승인받았다. 아시아나항공 관계자는 “일본 노선의 전반적인 수익 감소로 노선을 조정하는 차원에서 운항을 중단하게 됐다”고 말했다.

대한항공도 다음달 30일부터 인천~시즈오카 노선 운항을 중단한다. 시즈오카 노선은 현재 주 3회 운항하고 있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승객 감소로 당분간 운항을 중단하는 것”이라면서 “노선을 완전히 폐지하는 것은 아니며 나중에 수요가 회복되면 운항을 재개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의 일본 노선 감편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이들 항공사들은 지난해도 엔저와 방사능 우려, 한ㆍ일 관계 경색 등을 이유로 일부 일본 노선 운항을 중단하거나 횟수를 줄인 바 있다.

대한항공은 지난해 3월 인천~나가사키 노선 운항을 중단했으며 10월부터는 오카야마, 니가타, 고마쓰 등의 운항 횟수를 줄였다. 아시아나항공은 지난해 10월 인천~센다이, 인천~시즈오카 노선 운항을 감축했다.

이 같은 일본 노선 감축의 원인으로는 수익성 악화가 손꼽힌다. 지난해 매출 감소와 적자 전환에 시달렸던 대한항공은 그 이유를 “15% 감소한 일본 수요”에서 찾았다. 한류 열풍으로 우리나라를 찾는 일본 관광객이 늘고, 또 일본을 찾는 한국 관광객도 매년 급증하면서 한때 ‘좌석이 없어 못 팔던’ 황금노선인 일본이 이제는 계륵으로 전락했다는 의미다.

아시아나도 마찬가지다. 회사 관계자는 “한ㆍ일 관계 경색과 엔저 지속이 중국과 동남아 노선 호조에도 불구하고 전체 여객 수지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며 일본 노선의 부진이 실적 악화로 이어졌다고 전했다.

저비용항공사(LCC)들의 잇단 일본 취항과 노선 증편도 대형 항공사들의 감편 이유 중 하나다. 도쿄와 오사카 등을 운항하는 국내 6개 저비용항공사들의 시장 점유율은 지난해 상반기 기준 이미 10%를 넘어섰다. 주말 밤도깨비 여행처럼 저렴한 비용에 일본을 찾는 국내 관광객 수요를 상당부분 흡수한 것이다.

한편 대한항공은 악화된 수익성을 만회하기 위해 미국 노선 증편을 선택했다. 대한항공은 오는 5월부터 휴스턴에 주 4회 신규 취항하기로 했으며, 로스앤젤레스 노선에 이어 뉴욕 노선에도 최신 초대형 항공기인 A380을 추가 투입한다는 방침이다.

신동윤 기자/realbighead@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