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광주비엔날레 스무살…숫자로 돌아보기
[헤럴드경제=이한빛 기자] 1995년 창설된 ‘세계 가을예술 축제’ 광주비엔날레는 올해로 꼭 스무살이다. 2014년 제 10회 광주비엔날레는 ‘터전을 불태우라(Burning Down the House)’는 주제아래 영국 테이트모던 큐레이터 제시카 모건(45)이 총감독을 맡았다.
창설 당시 낯설기만 했던 현대미술을 대중에게 소개하고, 민주와 인권ㆍ평화라는 광주만의 정체성을 담은 전위적이고 실험적인 전시를 선보이며 세계 5대 비엔날레로 성장했다. 광주비엔날레의 20년 역사를 숫자로 살펴본다.

1995 = 광주비엔날레 창설년도. 제 1회 광주비엔날레는 1995년 9월 20일부터 11월 20일까지 중외공원 일대를 중심으로 62일 동안 열렸다. 주제 ‘경계를 넘어’는 국가, 민족, 이념, 종교 등을 초월해 마음의 벽을 허물고 세계와 함께 하는 공동체를 만들자는 의미와 함께 예술을 포함한 각 개인의 끊임없는 자기혁신을 통한 창조적 세계로 나아가자는 메시지를 담았다.

▶5 = 20년만에 광주비엔날레는 세계 5대 비엔날레로 성장했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200여 개의 비엔날레가 있다. 광주비엔날레는 1895년 세계 최초로 창설된 베니스 비엔날레, 카셀 도큐멘타(1955년), 상파울로 비엔날레(1951년), 휘트니 비엔날레(1932년)와 함께 국제 미술 행사로 명성을 쌓았다.

▶1,630,000= 첫 회 광주비엔날레 관람객 수. 1995년 첫 회 광주비엔날레는 신기록을 세웠다. 163만 명이라는 세계 비엔날레 역사상 가장 많은 관람객 수를 남겼으며, 이 수치는 현재까지도 유효하다. 2회부터는 관람객의 숫자가 줄어 92만명, 3회 61만명, 4회 41만명, 5회 52만명, 6회 72만명, 7회 36만명, 8회 49만명, 9회 65만명이 찾았다. 전위적인 현대미술 축제로서는 적지 않은 관람층을 보유하고 있다. 베니스 비엔날레의 경우 관람객 수는 32만 명 수준이다.

▶1183=1995년 1회 대회부터 9회 대회까지 역대 본전시에 참여했던 작가 수다. 제프 쿤스, 신디 셔먼, 게르하르트 리히터, 요셉 보이스, 애니쉬 카푸어, 빌 비올라 등 수많은 현대미술 거장들이 광주비엔날레 참여 작가로 이름을 올렸으며 해외 유명 작가들의 작품을 국내에 소개하면서 현대미술의 저변을 확대해왔다. 지역 작가로는 제 1회 신경호, 우제길, 홍성담 화백을 필두로 손봉채, 강운 등 신진작가까지 폭넓게 참여하면서 지역 미술을 국제무대에 알리는 데 기여했다.

▶1980= 광주비엔날레법인은 20주년을 맞아 980년 이후 광주와 한국, 아시아의 근현대사를 조망해보는 광주비엔날레 20주년 특별프로젝트 ‘달콤한 이슬, 1980 그 후’를 선보인다. 광주시립미술관에서 진행되는 이 프로젝트는 광주민주화운동에 근간을 둔 ‘광주정신’을 가치화하고 실천하기 위해 광주 시민 사회와 협업에 나서면서 ‘광주발 메시지’를 세계 속에 선포하는 기념비적인 기획이다. 다양한 학술회의, 전시, 강연, 퍼포먼스 등을 선보이는 대규모 행사로 꾸며진다.

vicky@heraldcorp.com






10
올해로 10번째 예술 비엔날레가 펼쳐진다. 순수현대미술. 1995년 1회 ‘경계를 넘어’ 대회를 시작으로 격년제로 행사가 열렸으며 매 행사 때 마다 광주의 정체성을 담보로 하면서 현대미술의 흐름을 접할 수 있는 주제들로 관람객들을 맞이해왔다. 올해 예술비엔날레 전시 주제는 ‘Burning Down the House/터전을 불태우라’로 총감독 제시카 모건이 실험적이고 혁신적인 전시를 선보일 계획이다.

12
제 9회까지 광주비엔날레를 거쳐 간 감독의 수이다. 제 3회부터 총감독제가 도입되면서 현재의 예술총감독체제를 갖추게 됐다. 제 3회 오광수, 제 4회 성완경, 제 5회 이용우, 제 6회 김홍희, 제 7회 오쿠이 엔위저, 제 8회 마시밀리아노 지오니를 비롯해 제 9회에서는 6명의 아시아 여성 공동 감독들이 선정되면서 화제를 모았다.
특히 2008년 제 7회 행사 당시 비엔날레 역사상 최초로 외국인 감독이 선정됐으며 이후 오쿠이 엔위저와 마시밀리아노 지오니는 연이어 베니스비엔날레 감독으로 ‘낙점’되면서 광주비엔날레의 국제적 위상을 확인시켜주는 계기가 됐다. 제 5회 ‘먼지 한 톨, 물 한 방울’ 전시를 기획했던 이용우 감독은 지난 2013년 세계비엔날레협회 초대회장으로 선출됐으며, 현재 광주비엔날레 대표이사이기도 하다.
한편 제 1회와 제 2회 행사는 조직위원장 체제 아래 커미셔너 등이 전시 기획을 맡았었다.



2005
(재)광주비엔날레는 그동안 쌓아올린 전시 노하우와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지역의 디자인 산업을 이끌고자 2005년부터 광주디자인비엔날레를 개최하고 있다.
제 1회 ‘삶을 비추는 디자인’(디자인총감독 이순종), 제 2회 ‘빛 L·I·G·H·T’(디자인총감독 이순인), 제 3회 ‘The Clue_더할 나위 없는’(디자인총감독 은병수), 제 4회 ‘도가도비상도’(디자인공동감독 승효상/아이 웨이웨이), 제 5회 ‘거시기, 머시기’(디자인총감독 이영혜) 등 5차례 행사가 열렸으며, 평균 30만 명의 고정 관람객을 확보하고 있다. 특히 2011년 제 4회 광주디자인비엔날레는 뉴욕타임스의 그 해 가장 뛰어난 현대 디자인 전시로 꼽히면서 ‘디자인 영예자’로 선정돼 화제를 모았다.

19
(재)광주비엔날레는 미술 축제 뿐 아니라 광주의 문화․관광 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소형 조형물 건립 프로젝트인 ‘광주폴리’를 2011년과 2013년 두 차례에 거쳐 진행했다. 현재 광주읍성터를 중심으로 11개의 1차 폴리와 광주 도심 곳곳에 8개의 2차 광주폴리가 시너지 효과를 내면서 관광객들에게 문화예술적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3차 광주폴리는 2014년부터 2015년까지 2년 동안 진행되며 작품의 개수에 연연하지 않고 모든 작품이 연구물이 될 수 있도록 제작할 방침이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