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LS산전, 동남아 바이오매스 발전시장 공략-중기와 상생 ‘일석이조’ 노려
에너지 분야 플랜트업체 웰크론한텍과 MOU

전력제어 시스템+솔루션플랜트 기술 ‘시너지’


[헤럴드경제=신상윤 기자]LS산전이 에너지ㆍ발전 분야 중견기업과 기술제휴를 통해 일석이조 효과를 노린다. 바이오매스 발전 분야 블루오션 지역인 동남아시아 시장 공략은 물론 중소기업과 상생까지 기대하고 있는 것이다.

LS산전은 13일 서울 구로구 웰크론한텍 본사에서 권봉현 LS산전 A&D사업본부장(상무)과 이영규 웰크론한텍 CEO(회장)가 참석한 가운데 발전소 제어시스템, 발전설비 솔루션 등 두 회사가 각각 보유하고 있는 기술 협력을 추진한다는 내용을 담은 ‘바이오매스 발전소 건설 협력’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이날 밝혔다.

이에 따라 두 회사는 바이오매스 발전소 등 신규 건설 수주 프로젝트에 관한 포괄적 기술 협력을 바탕으로 컨소시엄을 구성, 발전소 건설 수주 시 턴 키 수주 역량을 확보해 친환경 발전시장을 적극 공략할 계획이다.

LS산전은 주요 솔루션인 송배전 설비, 발전소 제어시스템, 고압인버터 등 전력 제어 시스템을, 월크론한텍은 발전용 수처리시스템, 소각로, 보일러, 황회수 설비 등 발전 설비 솔루션 관련 플랜트 기술을 제공하게 된다.

바이오매스 발전은 생물체를 열분해 시키거나 발효시켜 메탄, 에탄올 등의 에너지를 얻는 발전방식으로, 대부분 화력발전에 적용되고 있다. 바이오매스 발전소는 주변의 산림자원과 농업 부산물을 잘게 쪼갠 칩이 원료로 가동돼 발전 비용 절감, 운영 안정성 확보, 환경 보전 효과가 있다.

때문에 자본은 부족하지만 넓은 국토와 풍부한 자원을 가진 비(非)산유국이 대부분인 동남아와 아프리카 지역에서는 해당 분야에 대한 대규모 투자가 진행되고 있다.

LS산전은 우선 동남아 바이오매스 시장을 노리고 있다. 이미 동남아 시장에서 인정받고 있는 전력, 자동화 제어 기기, 솔루션 기술력을 바탕으로 웰크론한텍의 플랜트 설비 기술과 시너지 효과를 앞세워 현지 시장을 선점한다는 전략이다.

동남아 각 나라는 정책적으로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장을 육성하고 있다. 특히 사탕수수 부산물인 버개스(bagasse)나 목재를 가공하고 남은 ‘우드칩’을 태워 터빈을 돌리는 30~50㎿ 규모의 중소형 바이오매스 화력 발전소 건설에 나서고 있어 해당 시장 규모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LS산전 관계자는 “이번 협약 체결을 통해 뛰어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 두 회사가 협력해 해외 발전소 건설 수주경쟁력을 강화하게 됐다”며 “동남아를 시작으로 아프리카 등 바이오매스를 비롯한 세계 신재생에너지 발전 시장을 선점하겠다”고 말했다.

ke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