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박 대통령의 유별난 GM 사랑, 왜?
[헤럴드경제=김대연 기자]“GM이 한국을 떠날 것이라는 소문이 있는데 그것은 확실히 아니다. 여기에 남기 위해 왔다.(We are here to stay.)”(세르지오 호샤 한국지엠 사장)

“정부는 당신들을 지원하기 위해 여기 있다.(Government is here to support you)”(박근혜 대통령)

박근혜 대통령의 각별한 GM 챙기기(?)가 다시 이슈가 됐다. 박 대통령은 지난 9일 청와대에서 외국인 투자 기업 대표 초청 오찬 간담회를 열고 참석자들에게 적극적으로 한국에 투자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 자리에서 세르지오 호샤 한국GM 사장은 ▷한ㆍ호주 FTA 체결 ▷노사 상생 환경 조성 ▷자동차에 대한 규제 해제 등에 감사를 표한다고 말했다. 또 최근 자동차 업계에서 불거진 한국GM의 한국시장 철수설도 적극 부인했다. GM이 박 대통령을 믿고 있는 것 처럼 박 대통령도 GM을 믿어달라는 말까지 덧붙였다. 그러자 박 대통령은 호샤 사장의 영어 표현을 써 가며 한국 정부도 지원할 것이라고 화답했다. 


박 대통령과 GM의 인연은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지난해 5월에는 댄 애커슨 전 GM 회장이 미국을 방문한 박 대통령에게 통상임금 문제 해결을 한국 정부가 나서 해결해 줄 것을 요청했고, 이에 박 대통령은 꼭 풀어나가겠다고 대답했다. 당시 노동계는 소송 사안에 대해 GM이 한국정부의 개입을 요구했다며 반발했다. 얼마전에는 국토교통부와 환경부가 자동차 안전기준 및 환경기준을 한국GM 경상용차 다마스와 라보에 한해 최장 6년간 유예해주기로 했다. 대표적인 서민용 차량이라는 것을 고려하더라도, 특정 차량의 단종을 막기 위해 정부가 일괄 적용 기준 자체를 유예해 준 것은 극히 드문일이다.

특혜 시비까지 일어날 정도로 박 대통령과 정부가 GM을 신경쓰는 이유는 무엇일까. 일단 미국의 대표 자동차 기업이라는 상징성 때문으로 보인다. 물론 규모도 커 국내 외국인투자기업 가운데 금융권, 정유 분야를 제외한 산업계 2위(2011년 기준)를 차지하고 있다. 현재 국내 고용인원만 1만6000명에 달한다. 지난 2002년 출범이후 매년 1조원 이상을 제품 개발 및 시설에 투자했고, 지난 2012년에는 향후 5년간 7조2000억원의 투자를 집행하겠다는 계획을 내놓기도 했다.

이와 관련, 자동차 업계 한 관계자는 “GM이 한국 정부를 상대로 비즈니스를 잘하는 것 같다”며 “철수설은 부인했지만 생산물량 축소에 대한 대책도 내놓아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sonamu@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