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베어링자산운용 “日 전자산업, 삼성ㆍLG 따라잡기는 어려울 듯”
[헤럴드경제=양대근 기자] 글로벌 운용사인 베어링자산운용은 9일 “삼성전자가 작년 4분기 부진한 실적을 냈지만 일본 전자 기업들이 한국을 따라잡기에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이날 킴 도(Khiem Doㆍ사진 왼쪽) 아시아 멀티에셋 투자전략 대표는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엔화 약세로 인해 한국의 수출 경쟁력 약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있지만 사실에 기반한 것이 아니라 인식의 문제”라면서 “실제 제품 판매 수치를 보면 삼성전자와 LG전자가 글로벌 시장에서 굉장히 잘 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자동차 산업에 대해서도 “현대차와 기아차의 가격 경쟁력이 일본의 도요타, 닛산 등에 크게 밀릴 것으로 보이지만 결국 사람들은 자신이 선호하는 브랜드를 택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그는 일본 시장 전체를 볼 경우 “현재 가장 매력적인 시장이 맞다”고 평가했다.

팀 스콜필드(Tim Scholefield) 글로벌 주식부문 대표 역시 “향후 12개월 동안은 채권보다는 주식이, 선진국 시장 중에서는 일본이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일본의 경우 아베 신조 총리의 경제정책인 ‘아베노믹스’로 통화정책이 급격히 달라졌고 일본은행은 독자적인 은행 정책에 대한 확신이 강한 점이 낙관적 전망의 근거”라고 말했다. 최근 엔화 약세는 이같은 정책 변화의 결과라고 분석했다.

이머징 국가 중에서는 중국의 성장 가능성을 높게 평가했다. 특히 ‘뉴 차이나’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이 과거 ‘투자’ 중심의 경제 활동이 아닌 ‘소비’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자동차, 헬스케어 산업 등이 급부상 할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의 인터넷 사업 성장도 주목할 부분이라고 지적했다.

스콜필드 대표는 “양적완화라는 전례없는 글로벌 통화정책 실험이 진행 중이지만 향후 중국의 경제정책 방향은 더 확실해 질 것” 이라며 “앞으로는 중국 시장에 눈을 돌릴 때”라고 덧붙였다.

bigroo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