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승진도 청마(靑馬)처럼’ 기업 10곳 중 4곳 “연공서열 관계없이 주요 직원 고속승진 시켰다”
[헤럴드경제=이슬기 기자] 기업 10곳중 4곳 이상이 연공서열보다 능력을 중시해 발탁 인사를 한 것으로 조사됐다.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은 기업 167곳을 대상으로 ‘2014년 인사 현황’을 조사한 결과, 조사대상의 43.7%가 연공서열보다 빠르게 승진한 직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일 밝혔다. 고속승진 직원은 연공서열보다 평균 2.7년 빠르게 승진한 것으로 집계됐다.

고속승진 인사를 단행한 이유로는 ‘핵심인재 육성을 위해서(56.2%, 복수응답)’가 첫 번째로 꼽혔다. ‘성과에 대한 보상 차원에서(28.8%)’, ‘인재 이탈을 막기 위해서(23.3%)’, ‘CEO의 지시(12.3%)’가 뒤를 이었다.

고속승진자의 성별은 평균 77 : 23(남성 : 여성)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3배 이상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직급별로 보면 ‘과장, 부장급 관리자’로 승진한 직원이 56.2%(복수응답)로 가장 많았고 ‘주임, 대리급 실무자’로의 승진도 37%(복수응답)나 됐다.

관리자급으로의 고속승진에는 ‘업무 성과(43.9%)’와 ‘소속부서 내 역할(26.8%)’, ‘리더십(7.3%)’ 등이 주로 반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리급 실무자로의 고속승진에는 ‘업무 성과(33.3%)’, ‘성장 가능성(14.8%)’, ‘애사심과 근속 의지’(14.8%) 등이 고려된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기업 인사담당자의 79%는 ‘우수한 인재를 고속승진 시키는 것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그 이유로 ‘능력중심의 조직문화 정착에 도움이 되기 때문(47.7%, 복수응답)’이 1위를 차지했고 ‘성과에 대한 보상 차원에서(42.4%)’가 근소한 차이로 뒤를 이었다. ‘다른 직원의 동기 부여에 도움이 된다(37.1%)’, ‘우수 인재의 이탈을 막을 수 있어서(34.1%)’, ‘경직된 조직을 쇄신할 수 있어서(11.4%)’, ‘연공서열보다 합리적이라서(9.1%)’ 등의 답변도 있었다.

yesyep@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