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2014 명품 트렌드는 美 부활ㆍ中 퇴조ㆍM&A 후끈
‘미국의 부활과 중국의 몰락, 명품 브랜드 인수합병(M&A) 바람’

갑오년(甲午年) 세계 명품시장에서는 소비시장 미국의 성장과 중국의 침체, 브랜드 간 M&A 바람이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경영컨설팅 업체 베인앤컴퍼니에 따르면 2013년 미국 내 명품 소비는 4% 증가한 690억유로(약 100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잠시 주춤했던 미국 명품 소비는 지난해 대도시를 중심으로 한 확장세와 온라인 판매, 소비자 신뢰지수 개선 등에 힘입어 증가세로 돌아섰다. 프리미엄 의류제품의 경우 지난해 매출이 295억달러(약 31조원)에 달했다.


이같은 성장세는 2014년에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올해 성장세를 이끌 요인으로 미국의 온라인 광고를 꼽았다.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 등 소셜미디어들의 온라인 광고 경쟁이 가속화되면서 전자상거래(e-커머스) 시장에서의 판매도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경쟁체제를 통한 가격인하와 아울렛 판매 등은 코치나 제이크루 등 미국 내 명품 브랜드들의 척추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되며, 아시아와 브라질 등 신흥국 여행객들을 대상으로 한 판매도 호조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고 FT는 전했다.

반면 그동안 전세계 명품시장 성장을 견인해오던 중국은 올 전망이 밝지만은 않다. 지난해 매출 성장률은 2012년 7%대에서 2.5%로 주저앉았다.


FT는 거시경제학적 상황을 고려했을때 중국 매출 하락이 지속될 것으로 예측했다. 특히 선물용으로 소비되던 남성의류와 시계 분야 판매가 정부의 반부패 개혁 정책으로 인해 하락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인들의 명품 소비가 주로 해외에서 이뤄지는 것도 명품시장에서의 중국 퇴조 현상을 부채질 할 것으로 보인다. 베인앤컴퍼니는 지난해 중국인 명품 구매의 67%가 해외에서 이뤄진 것으로 조사했다.

이 때문에 루이비통모에헤네시(LVMH), 프라다 등 대다수의 명품 회사들이 내년 중국시장을 보수적으로 보고 있으며, 매장은 현 수준을 유지하고 제품 가격 인상에 초점을 맞출 것이라고 FT는 전했다.


이런 가운데 명품 업계 내 대규모 지각변동도 예상된다. 전문가들은 루이비통, 구찌 등 대형 브랜드들이 판매 둔화를 반전시키기 위해 M&A를 시도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LVMH는 로로피아나를, 케링(Kering) 그룹은 포멜라토 등을 인수할 것으로 전망된다. 명품 명가 베르사체 가(家)의 산토 베르사체 회장도 지분 20%를 이달 중순께 매각할 예정이다. 아르마니, 돌체앤가바나, 에르메네질도 제냐, 브루넬로쿠치넬리 등의 경우 이전부터 대형 업체가 눈독을 들이고 있는 독립 브랜드다. 업계는 이들을 중심으로 연초부터 명품 브랜드 M&A 시장이 후끈 달아오를 것으로 보고 있다.

문영규 기자/yg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