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스키 타다 다쳤다면…RICE를 명심하라
Rest: 부상당한 부위 쉬게 하고
Ice: 다친 부분 얼음찜질 하면서
Compression: 압박붕대를 감고
Elevation: 가슴보다 높게 올려야


스키어와 보더의 가슴 뛰는 계절이 왔다. 하지만 해마다 스키장에서 안전사고는 끊이지 않는 뉴스이다. 예전에는 무릎과 다리 발목 등의 부상이 많았다면, 최근에는 스노보더가 증가하면서 팔과 어깨 부상으로 옮겨가고 있다.

▶넘어질 때 보드는 손으로 짚지 말고 몸으로 미끄러지듯, 스키는 폴을 놓고 옆으로 넘어져야=스키와 보드는 부상 유형에서 뚜렷한 차이가 있다. 날개병원 오세관 원장은 “스노보드는 양쪽 다리가 데크에 고정돼 있어 어깨나 손목, 팔 등 상지 손상이 가장 많은 반면 스키는 무릎과 발목 부상이 빈발한다”고 말했다. 스노보드 선수들도 부상에서 예외는 아니라, 점프 회전 등 고난이도 동작을 하다가 어깨 탈구, 회전근개파열 등의 부상을 입기도 한다. 이에 비해 스키는 무릎 부상이 가장 흔한데, 이 중에서도 십자인대나 연골 손상이 가장 문제가 된다.

스키장에서 부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안전하게’ 넘어지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스노보드는 넘어질 때 손으로 땅을 짚지 말고 주먹을 쥔 채, 팔과 몸 전체로 미끄러진다고 생각하는 것이 안전하다. 뒤로 넘어질 때는 낮은 자세로 주저앉듯이 엉덩이부터 닿으면서 등 전체로 비스듬히 눕듯이 넘어지되, 머리와 다리를 들어준다. 스키는 넘어질 때 폴을 놓고 옆으로 넘어져야 큰 부상을 예방할 수 있다. 앞으로 넘어지면 발목이나 무릎이 꺾이면서 골절이나 인대손상의 우려가 높고, 폴을 끝까지 붙잡고 있으면 폴이 지면과 충돌하면서 그 충격이 고스란히 손목 관절에 전해지기 때문이다.

스노보드는 넘어질 때 손으로 땅을 짚지말고 주먹을 쥔 채, 팔과 몸 전체로 미끄러진다고 생각하는 것이 안전하다.

▶무릎 보호대 외에 손목 팔꿈치 보호대와 헬멧도 필수=흔히 무릎 보호대는 챙기면서 손목과 팔꿈치 보호대는 생략하는 경우가 많은데, 보더라면 손목과 팔꿈치 보호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스키장에서 머리 부상은 흔하지는 않지만 일단 다치게 되면 대단히 위험하므로 헬멧 역시 반드시 써야 한다. 이같이 안전에 주의를 기울였더라도 뜻하지 않게 사고가 났을 때는 함부로 부상부위를 건드리지 않고 안전하게 이동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반드시 스키장 안전요원의 도움을 받아 의무실로 가서 부상 부위와 정도를 확인하고 응급조치를 받은 후 반드시 가까운 정형외과를 방문해서 이상 유무를 꼼꼼히 체크해보자. 부상을 당했을 때는 응급조치로 RICE 요법이 유용하다. 일단 부상 부위를 쉬게 해주고(Rest), 얼음찜질을 하면서(Ice), 압박붕대를 감고(Compression), 상처 부위를 가슴보다 높게 들어준다(Elevation).

김태열 기자/kt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