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피플데이터> 레고장터서 스토케까지…김정주 회장의 ‘게임 외도’ 왜?
최근 투자 ‘어린이’ 가 키워드…업계 관계자들 “게임회사 넘어 어린이 대상 종합 문화기업 발전 의도”

‘유아용 교육 콘텐츠업체에 투자, 컴퓨터박물관 설립, 세계 최대 레고 거래장터 ‘브릭링크’ 인수….’ 

지난 2년간 김정주 NXC(넥슨 지주사) 회장이 투자한 사업 분야다. 온라인게임을 기반으로 성장한 회사이지만 사업 영역은 게임에 그치지 않았다. 다양한 영역 확장 덕분에 NXC는 최근 IT업계의 ‘큰손’으로 자리 잡았다.

이번엔 다소 엉뚱하다. 대당 100만원을 호가하는 고급 외제 유모차 제조사라니. NXC가 지난 주말 노르웨이 유아용품업체 스토케를 인수하면서 업계 안팎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그간 김 회장의 사업 확장은 단순히 그의 개인적 선호에 따른 것으로 풀이됐다. 김 회장은 지난 7월 넥슨컴퓨터박물관 설립 간담회에서 “나의 꿈을 이뤄준 컴퓨터의 역사를 보고 다른 이가 또 다른 꿈을 이뤘으면 한다”는 개인적 바람을 말했고, 브릭링크를 인수할 때도 “40년 레고 팬으로서 브릭링크 인수를 기쁘게 생각한다”고 밝혀 그의 다양한 관심사가 NXC 사업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하지만 이번 스토케 인수는 그간의 움직임이 그렇게 단순하지만은 않다는 것을 명확하게 한다. 이번 NXC의 스토케 인수가격은 약 4억8300만달러, 5000억원에 이른다. 지난해 넥슨이 엔씨소프트 지분 14.7%를 인수할 때 지불한 8000억원의 절반 이상 규모. 개인적 선호로 단행했다기에는 다소 큰 규모다.

때문에 게임업계는 김 회장이 현재 동심을 타깃으로 한, 보다 큰 그림을 그리는 것으로 보고 있다. ‘카트라이더’(넥슨의 대표 게임 브랜드)와 스토케는 얼핏 전혀 어울릴 것 같지 않지만 어린이를 소비자로 한다는 점에서 맥을 같이한다. 지난 8월 전략적 투자를 단행한 모바일교육 콘텐츠업체 ‘스마트 스터디’ 역시 글로벌 유아동 교육앱 ‘핑크퐁’을 서비스하고 있다. 

최근 김 회장의 투자 외도에는 언제나 ‘어린이’라는 키워드가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김정주 회장이 넥슨을 어린이 대상의 종합문화기업으로 발전시키는 것 같다”고 풀이하는 까닭이다.

넥슨의 미래는 단지 게임회사에 그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피터팬 같은 김 회장의 꿈이 진보할 때 넥슨이라는 기업도 더욱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서지혜 기자/gyelov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