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교열 수정 (19면 사이드톱 아래)불황 앞에 경차마저 무릎 꿇다…경차 판매량 7년 만에 감소
불경기에 따른 반사이익으로 판매 증가가 예상됐던 경차가 되레 판매 성장세가 7년 만에 꺾였다.
8일 완성차업계에 따르면 올 1~11월 자동차 내수 시장의 위축과 함께 기아차모닝, 레이, 한국GM 스파크 등 경차 판매는 16만5587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7%나 감소했다.
국내 경차 시장이 감소세로 돌아선 것은 2006년 이후 7년 만이다.
2006년만 해도 경차 판매는 3만9230대에 불과했지만 불과 2년 만인 2008년 기아차 모닝이 경차 시장에 진입하면서 13만4303대로 무려 3배 이상 증가했다.
이후에도 경차는 큰 차보다 연비가 좋고 구매가격ㆍ유지비가 적다는 장점이 불경기와 고유가 시대에 각광을 받으며 지난해 20만2854대로 역대 경차 판매 수치로는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에 업계에서는 올해도 경차 시장 확대를 기대했다. 지난해 말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는 저렴한 차량유지비라는 강점을 바탕으로 합리적 소비 성향이 확산하면서 올해 경차 시장을 작년보다 8% 성장한 21만9000여대 규모로 예상했다.
하지만 예상과 달리 7년 만에 마이너스 성장세를 기록하면서 업계는 경차마저 극복하지 못한 극심한 경기 침체를 주요인으로 꼽고 있다.
몇 년째 이어진 경기 침체 영향이 올해 들어 경차의 주 구매층인 20~30대 소비자와 서민층의 구매심리를 더욱 위축시킨 것이다.
이에 더해 2011년 말 출시된 기아차 레이의 신차 효과가 떨어진 데다 준중형 차급에서 젊은 소비자들이 선호할 만한 다양한 파생 모델이 출시된 것도 경차 판매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현대차 아반떼의 경우 올해만 아반떼 쿠페와 디젤 모델을 추가했으며 기아차도 K3에 해치백, 쿠페 모델에 이어 최근 디젤 모델을 추가했다.
쉐보레 크루즈 역시 1.4 터보 모델을 출시해 젊은 층 수요를 공략하고 있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올해 경차 시장이 10% 이상 대폭 감소함에 따라 내년에는 일정 부분 이를 만회하고 판매가 소폭 늘어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자동차산업연구소는 최근 내놓은 2014 경영환경 전망에서 내년 경차 시장 규모를 올해보다 1.1% 증가한 18만2000여대로 전망했다.
김상수 기자/dlcw@heraldcorp.com

<사진>모닝, 레이, 스파크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