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이상철 부회장 “화웨이 보안 기술적으로 증명하겠다”
LGU+ 국제 공인인증기관 통해 장비 보안 검증 


[헤럴드경제= 정태일 기자]“화웨이 장비 도입은 사실 다 끝난 문제인데 정치나 외교 문제라면 우리가 이에 대해 어떻다고 말하기 어렵지만, 보안 문제에 있어서는 우리가 기술적으로 확실히 증명할 수 있다”

이상철 LG유플러스 부회장<사진>은 지난 6일 신사동 CGV청담씨네시티에서 열린 출입기자 송년간담회에서 광대역 LTE 네트워크 구축에 도입한 화웨이 장비의 보안 문제에 대해 자신했다.

이 부회장은 “통상 라디오 부분과 디지털 유닛 두 분야가 하나의 기지국인데, 기지국 단에서는 누가 전화하는지 알 수가 없다”며 “기지국은 패킷을 다 벗겨서 보는 데가 아니다, 유선망으로 가야만 패킷을 벗겨서 누가 누구에게 전화했는지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기지국 단에서는 알 수 없다”고 강조했다.

또 “‘백도어를 설치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지만 무의미한 인포메이션(주장)에 불과하다”며 정보유출 의혹을 일축했다. 화웨이 장비를 선택한 배경에 대해서는 “화웨이가 지금 현재로서는 세계 1위 사업자”라며 “기술력이 뛰어난 것도 있지만 리스어떤 요구사항에 즉각 대응하고 내 장비처럼 열심히 달려들어 푸는 부분은 화웨이가 최고다, 일본 소프트뱅크도 화웨이를 칭찬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이 부회장은 화웨이 장비는 이미 해외에서 엄격한 인증을 통해 검증받은 바 있다고 밝혔다. 이 부회장은 “캐나다, 호주, 스페인, 영국, 일본 등 해외 여러 나라가 모두 LG유플러스와 마찬가지로 화웨이 LTE 기지국 장비를 사용하고 있다”며 “특히 영국의 CCRA(Common Criteria Recognition Arrangement)를 통해 장비 테스트를 해 이 테스트를 통과하면 인증서를 준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LG유플러스도 국제적으로 공인된 인증기관에서 화웨이 장비 보안 관련 인증을 받기로 했다. 이 부회장도 “소스 오픈을 통해 장비 테스트를 해 전혀 문제가 없음을 입증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나아가 자체적으로 기지국의 보안성을 검증하는 방안도 화웨이와 협력해 공동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통해 LG유플러스는 화웨이 장비뿐만 아니라 기존 장비 공급업체의 제품도 별도로 보안 검증을 실시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

화웨이 또한 LG유플러스 및 국내 공인기관이 필요로 할 경우 장비의 소프트웨어 정보가 외부로 유출될 위험이 없는 국제 보안 인증기관 실험실 환경에서 장비인증에 필요한 기술적 소스를 공개할 예정이다.

앞서 미국 상원 의원들은 척 헤이글 국방장관, 존 케리 국무장관, 제임스 클래퍼 국가정보국(DNI) 국장에게 보낸 서한에서 “화웨이가 한국의 선진화된 롱텀에볼루션(LTE) 통신 기간망 공급자로 선정됐다는 보도를 봤는데 이는 잠재적인 안보 우려를 야기한다”며 한국 통신시장에서 화웨이의 장비를 통해 주요 정보가 유출될 경우 한미 군사동맹이 약화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killpas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