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나는 하류층” 역대 최다 국민 46.7%
[헤럴드 생생뉴스]우리나라 국민 10명 중 5명 정도가 자신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하류층’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대 가장 높은 비율이다. 절반가량이 자기 소득에 만족하지 못했고 2011년과 비교해 소득이 감소한 가구가 26.1%, 빚이 늘어난 가구가 24.1%로 집계됐다.

고령화 사회에 급속도로 진입하고 있지만 전체의 4분의1인 27.1%의 국민이 노후를 준비하고 있지 않다고 답했다고 서울신문이 전했다. 골프장, 스키장 등 레저시설 이용자는 늘었지만 기부한 경험이 있는 국민은 줄어들고 있다. 청년들의 직장 선호도는 ‘신의 직장’이라고 불리는 공기업에 집중되고 대기업과 공무원의 인기는 전보다 다소 떨어졌다.

통계청은 이런 내용의 ‘2013년 사회조사 결과’를 4일 발표했다. 2년 주기로 실시되는 이번 조사는 전국의 만 13세 이상 가구원 약 3만 8000명을 대상으로 복지, 사회 참여, 문화·여가, 소득·소비, 노동 부문에 대해 이뤄졌다.

자신이 하류층에 속한다고 생각하는 국민들이 늘어났다. 가구주 중에서 자신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하류층이라고 답한 비율은 46.7%로 2011년에 비해 1.4% 포인트 증가했다. 이는 1988년 관련 조사 개시 이래 가장 높은 것이다. 상류층이라고 생각하는 비율은 1.9%로 변화가 없었지만 중산층이라는 응답은 52.8%에서 51.4%로 감소했다. 내년에는 올해보다 살림살이가 나아질 것이라고 생각하는 가구주도 23.6%로 1.5% 포인트 줄었다.

하류층에서 중산층으로, 중산층에서 상류층으로 올라설 수 있다는 희망도 작아졌다. 본인이 열심히 노력하면 계층 이동이 가능하다는 응답자의 비율이 28.8%에서 28.2%로 내려갔다. 자녀의 사회적 지위가 자신보다 높아질 것이라고 기대하는 부모도 41.7%에서 39.9%로 줄었다.

소득이 감소하면서 노후를 준비하지 못하는 국민들이 늘어났다. 19세 이상 가구주 중 노후를 준비하고 있지 않은 사람은 27.1%로 2.9% 포인트나 증가했다. 연령별로 60세 이상이 48.4%로 가장 많았고 19~29세 40.9%, 30대 12.9%, 40대 14.3%, 50대 19.8%였다.

60세 이상 고령자 10명 중 7명은 자녀와 같이 살고 싶지 않다고 했다. 실제로 전체의 3분의2인 67.8%가 자녀와 떨어져 살고 있다. ‘따로 사는 것이 편하기 때문’이라는 대답이 30.8%로 가장 많았다. 장례 방법은 전체 응답자의 83.6%가 화장을 원했고 매장을 선호하는 비율은 17.2%에서 14.7%로 감소했다.

지난 1년 동안 기부한 경험이 있는 사람은 34.6%로 1.8% 포인트 줄었다. 기부를 하지 않는 이유로는 ‘경제적 여유가 없어서’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반면 레저시설을 이용한 적이 있다는 사람은 71.4%, 문화예술 및 스포츠 관람 경험자는 63.4%로 각각 5.6% 포인트, 4.8% 포인트 늘었다. 해외여행을 다녀온 사람도 17.2%로 1.3% 포인트 증가했다.

13~29세 사이의 청년들이 가장 근무하고 싶은 직장은 ‘국가기관’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공기업’에 대한 선호도가 15.6%에서 17.7%로 가장 크게 늘었다. ‘국가기관’과 ‘대기업’의 선호도는 28.6%와 21.0%로 각각 0.1% 포인트, 0.6% 포인트 떨어졌다. 청년 취업난의 여파로 중소기업 선호도는 2.8%로 0.5% 포인트 증가했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