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상어 퇴치 장치 개발, 자기장·초음파 이용해…“이게 가능해?”
[헤럴드생생뉴스] 최근 한반도 연안 수온 상승으로 아열대성 어종인 상어가 자주 출몰하는 가운데, 상어 퇴치 장치가 개발됐다는 소식이 전해져 눈길을 끈다.

4일 해양수산부는 군산대 산학협력단과 함께 태양전지모듈로 자기장을 만들어 상어를 쫓는 장치를 개발해 특허등록을 마쳤다고 밝혔다.이 장치는 자기장과 초음파를 발생해 전기에 민감한 상어를 쫓을 수 있도록 고안됐다.

부표에 태양전지모듈을 얹어 필요한 전기를 스스로 충당할 수 있도록 했으며, 해수면의 높이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부표의 부력과 케이블의 길이가 조절된다.

자료사진


1959년부터 지금까지 국내에서 식인상어로 인해 사망한 사람은 총 6명에 이른다. 지난달 22일 부산 태종대 앞바다에서는 길이 5m, 무게 700㎏ 짜리 대형 청상아리가 발견되기도 했다.

해수부는 “상어류 중 인간에게 가장 위협이 있는 백상아리의 공격으로 충남과 전북 연안에서 적지 않은 인명피해가 발생하고 있다”며 “상어 퇴치장치가 안전한 해양활동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내비쳤다.

상어 퇴치 장치 개발 소식에 누리꾼들은 “상어 퇴치 장치 개발, 반가운 소식이네”, “상어 퇴치 장치 개발, 상어가 자주 출몰한다니 해수욕하기도 겁나겠다”, “상어 퇴치 장치 개발, 효과는 검증된 걸까?”라는 등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한편 우리나라 바다에는 상어 40여 종이 분포하며 사람을 공격하는 종은 청상아리와 백상아리, 칠성상어, 흑기흉상어, 귀상어, 미흑점상어, 무태상어 등 7종인 것으로 알려졌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