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수돗물 ‘소독약 냄새’ 잡았다
서울시, 염소분산주입시설 설치
수돗물에서 나는 소독 냄새 때문에 수돗물 대신 정수기를 많이 이용하고 있는데 이젠 수돗물을 바로 마실수 있게 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는 강북ㆍ암사 아리수정수센터에 ‘염소분산주입시설’을 설치해 수돗물 소독약 냄새를 잡았다고 27일 밝혔다.

시는 소독 냄새의 원인인 염소소독제를 줄이기 위해 정수센터에서 수돗물을 공급하기 직전 투입하는 염소량은 줄이고 수계(공급라인)를 거치면서 각 배수지에서 소독제를 분산 주입해 잔류염소량을 0.1~0.3mg/L 이하(소독냄새를 잘 느끼지 못하는 수준)로 유지하는 방식을 도입했다.

기존에는 정수센터에서 0.7mg/L 정도의 염소를 투입해 공급하기 때문에 정수센터에서 가까운 가구의 수돗물에서는 염소 냄새가 많이 났다. 반면, 정수센터에서 멀리 떨어진 가구의 경우 수도관 내 잔류염소량이 줄어 수돗물에 잔류염소량이 부족해질 수 있었다.

시는 소독제도 기존의 염소가스가 아닌 소금을 활용해 만든 액체 소독제(차아염소산나트륨)를 써서 물에도 더 잘 녹아 소독 부산물과 냄새도 줄일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시는 차아염소산나트륨으로 수돗물을 소독하는 방식을 시범 운영한 결과 개선 전에는 0.10~0.70mg/L이었던 잔류염소량이 개선 후에는 0.13~0.40mg/L로 줄어들었다고 밝혔다.

시설이 설치된 암사, 강북아리수정수센터는 서울시내 수돗물 공급의 3분의 2를 담당하고 있어 많은 시민들이 수돗물 소독 냄새 변화를 체감할 수 있게 됐다.

또 시는 소금을 활용한 소독제를 도입한 데에서 더 나아가 오존소독시설을 포함하는 고도정수처리를 암사와 강북아리수정수센터에 2015년까지 도입한다는 계획이다.

이진용 기자/jycaf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