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육해공 연계 화물운송 분쟁’ 통합규정 마련
[헤럴드경제=김재현 기자]육상ㆍ해상ㆍ항공 수단을 연계해 화물을 ‘복합운송’할 때 생기는 법률관계를 명확히 하기 위한 규정이 상법에 마련된다.

법무부는 25일 ‘복합운송법제 정비 및 항공운송인의 책임한도액 인상’을 위한 상법 개정안을 입법예고한다고 24일 밝혔다.

현행 상법은 육ㆍ해ㆍ공 운송에 대한 규정을 상행위편ㆍ해상편ㆍ항공운송편으로 각각 나눠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해외운송은 대부분 복합운송 형태로 이뤄지고 있어 실제 법을 적용할 때는 표준약관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등 ‘입법불비’에 따른 불편이 있다.

법무부는 2011년 3월 복합운송 규정을 신설하고 관련 법률관계의 구체적인 규정을 마련해 국회에 제출한 바 있다. 그러나 당시 개정안이 처리되지 않고 폐기됨에 따라 이번에 재입법을 추진하기로 했다.

법무부는 개정안에 계약 내용과 수령사실 등을 증명하는 화물상환증(육상)ㆍ선하증권(해상)ㆍ항공운송장(항공)을 통합한 ‘복합운송증권’을 도입했다. 컴퓨터를 통해서 전자증권을 발급할 수 있도록 근거규정도 만들었다.

복합운송 과정에서 물건이 파손됐을 경우의 손해배상 책임도 명확해진다. 육ㆍ해ㆍ공 운송인 사이에 손해발생 구간이 확인되면 그 구간의 운송인 배상규정을 따르고, 만일 어디에서 손해가 발생했는지 확인되지 않으면 가장 긴 거리를 운송한 구간의 운송인이 책임을 져야 한다.

한편 법무부는 운송인의 손해배상 책임에 상한을 두고 이를 불법행위에도 적용하는 상법상 ‘책임제한 규정’이 해상ㆍ항공운송에만 적용되고 있는 점을 고쳐 육상ㆍ복합운송에도 관련 규정을 신설했다.

이밖에 국제 항공편을 이용한 운송에 적용되는 ‘몬트리올 협약’의 책임한도가 2010년 13.1% 인상된 것을 적용해 상법상 항공운송인의 책임한도를 상향 조정했다.

법무부는 이번 개정안을 내년 상반기에 국회에 제출할 예정이다.



madpe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