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유출 사건 수사도 막바지… 19일 정문헌 의원 소환
[헤럴드경제=김재현 기자]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폐기’ 의혹 수사를 마친 검찰이 대화록 ‘유출’ 의혹에 연루된 국회의원을 잇따라 소환하고 있다. 유출의혹 수사도 막바지 단계에 이른 것으로 보인다.

18일 검찰과 정치권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공안1부(부장 최성남)는 정문헌 새누리당 의원을 19일 오후 소환해 조사할 예정이다. 국회 일정상 이유로 아직 소환 날짜를 잡지 못한 서상기 의원에 대해서도 이번 주중 소환 조사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 의원은 지난해 10월 8일 통일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노무현 당시 대통령이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과의 회담에서 북방한계선(NLL)을 주장하지 않겠다는 취지로 발언한 ‘비공개 대화록’이 존재한다”고 주장해 이른바 ‘NLL 논란’을 촉발했다. 정 의원은 당시 대화록 내용을 인용한 것이라며 “노 전 대통령은 김정일에게 ‘NLL 때문에 골치 아프다. 남측은 앞으로 NLL을 주장하지 않을 것이며, 공동어로 활동을 하면 NLL 문제는 자연스럽게 사라질 것’이라고 구두 약속을 해줬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검찰 수사 결과 해당 발언은 노 전 대통령이 아닌 김 전 국방위원장이 한 말인 것으로 확인됐다. 정 의원은 대선 직전인 지난해 12월14일에도 기자회견을 통해 대화록 내용이라며 노 전 대통령의 NLL 관련 언급 등을 추가로 공개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해 민주당은 지난 7월 “비밀문서인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을 권한 없이 열람, 그 내용을 유출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정 의원과 지난해 대선 당시 새누리당 선거대책위 총괄본부장과 종합상황실장이었던 새누리당 김무성 의원, 권영세 주중대사 등 3명을 대통령기록물관리법 위반 혐의로 검찰에 고발했다.

검찰은 이중 권 대사는 서면조사 했으며, 지난 주 김 의원을 불러 조사했다. 김 의원은 검찰 소환조사에서 “정보지에서 해당 내용을 봤다”면서 “대화록을 접한 적이 없다”고 진술한 것으로 나타났다.

madpe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