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잘나가는 ‘중형’
실수요자 급증 분양시장 효자
매매가 두달연속 상승세 지속


최근 267가구를 분양한 서울 왕십리 ‘KCC스위첸’ 아파트. 이 아파트는 여러 주택형 가운데 ‘중형’인 73.8㎡형(이하 전용면적)이 3대 1의 높은 경쟁률을 기록하며 1순위 청약 마감했다. 반면 13가구를 모집한 59.9㎡형엔 11명 청약에 그쳐 2가구 미달되는 등 성적이 신통치 않았다.

‘KCC스위첸’의 사례에서 보듯 최근 주택분양 시장에서 62.8~95.9㎡ 크기의 중형 아파트 인기가 상한가를 치고 있다. 전세시장에서는 이미 중형이 큰 인기를 끌면서 전셋값 오름폭이 소형을 압도하고 있다. 최근엔 매매가까지 오름세로 급선회했다.

14일 국민은행의 ‘올 1~10월 전국 주택 규모별 전세가격 동향’ 자료에 따르면 중형 아파트 전셋값이 4.94% 오르면서 62.8㎡ 미만의 소형(4.17%)이나 95.9㎡ 초과 대형(4.16%)보다 상승폭이 컸다. 같은기간 수도권 전셋값도 중형은 6.33% 상승하며 5.29% 오른 소형을 1.04%포인트 웃돌았다.

중형 아파트는 매매시장에서도 강세로 돌아섰다. 올들어 하락세를 지속하던 전국 매매가격이 9월 0.05% 올랐고, 10월엔 0.22%까지 추가 상승하는 등 가파른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다. 수도권의 경우엔 10월 0.36% 오르며 올해 첫 상승 기록을 세웠다.

중형 아파트가 인기를 끌면서 건설사들도 중형 아파트 분양에 힘을 쏟고 있다. 특히 기존 84㎡ 크기의 중형을 다양화한 72㎡, 82㎡ , 90㎡ 등 ‘틈새평면’까지 경쟁적으로 내놓고 있다. 서울 송파구 인근에 분양하는 ‘위례2차 아이파크’ 90㎡형(278가구)이 그런 케이스다. 최근 89~94㎡ 사이의 다양한 평면을 선보이며 1순위 청약 마감한 ‘래미안 대치청실‘도 같은 경우다.

이처럼 중형 아파트가 인기를 얻는 배경엔 오피스텔을 포함해 1~2인용 소형 주택 공급이 크게 늘어난 반면, 중형 공급은 적어 수급불균형이 초래됐기 때문이다.

3~4인 가구가 꾸준히 중형 아파트를 찾는 데다 정부가 향후 모든 공공분양주택을 60㎡이하 소형만 공급하겠다고 밝히고 나서 중형 아파트의 희소 가치는 지속될 전망이다.

김규정 우리투자증권 부동산연구위원은 “중형 주택은 최근 발코니 확장을 통해 과거 대형 주택 크기로 느껴질 만큼 공간도 넓어져 실수요자들의 인기가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박일한 기자/jumpcu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