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경기도 학교 비정규직 파업 돌입…급식 차질 등 혼란
[헤럴드경제=김기훈ㆍ서상범 기자] 경기도 지역 급식 조리원 등 학교 비정규직 근로자들이 14일 부분파업에 나서자 일부 학교에서 급식에 차질이 생기는 등 혼란을 빚고 있다. 교육당국 및 각 학교는 당일 아침에도 정확한 파업 참가 규모를 파악하지 못해 전정긍긍하는 등 대책 마련에 분주한 모습이다.

공공운수노조 전국회계직연합(전회련) 학교비정규직본부는 14일 오전 11시 경기도교육청 앞에서 결의대회를 열고 부분 파업에 돌입했다.

전회련 관계자는 이날 오전 “경기도 지역의 경우 700여개 학교에서 약 1000~2000여명이 파업에 참여할 것으로 보인다”며 “참여 직군 가운데 영양사, 조리원이 50%에 달해 급식 차질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이에 경기도교육청은 일선 학교에 ‘직종별 학교비정규직 파업 대책’ 안내 지침을 시달하고 부당노동행위에 해당하지 않는 범위에서 대책을 세우도록 지시했다.

도교육청은 파업 참가 인원이 많아 급식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도시락을 나눠주되 이마저 여의치 않으면 빵이나 우유를 제공하도록 했다. 하지만 파업을 하루 앞두고 학부모들에게 갑작스레 통보가 이뤄져 학부모들은 부랴부랴 도시락을 만드는 등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다.

고2 자녀를 둔 김모(44ㆍ여) 씨는 “어제 갑자기 학교로부터 파업으로 인해 급식이 중지된다는 문자메시지를 받았다”며 “학교에서는 빵 3개와 우유 1개를 지급한다며 만약 부족한 경우 가정에서 각자 알아서 도시락을 싸오라고 전달했다”고 말했다. 김 씨는 “오후에 급하게 장을 보고 밤 늦게까지 도시락을 쌌다”며 “미리 예고된 파업인데도 당국이 미리 대책을 세우지 못한 것 같아 아쉽다”고 지적했다.

한편 도교육청 관계자는 “파업 동참 인원 파악 자체가 쉽지 않다”고 말했다. 노조원을 대상으로 파업 참가 여부를 확인하는 행위 자체가 부당노동행위로 간주될 수 있어 노조원이 직접 알려주지 않는 한 참가 규모를 알 수 없다는 것. 교육청은 이날 오전 중으로 정확한 현황파악에 나선다는 입장이다.

한편 전회련은 호봉제 도입, 차별적 수당체계 개선, 고용안정, 교육감 직접고용과 교육공무직제 도입 등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날 오후 2시에 도교육청과 교섭을 벌일 예정이다.

전회련은 이날 충북 지역도 10개 이내 학교에서 부분파업에 돌입했다고 밝혔으며 15일에는 충북 100여개교와 전북 70여개교가 파업에 나선다고 예고했다.

kihu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