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러 민간경제 교류도 ‘활발’…양국 기업인 350명 한 자리에 모였다
[헤럴드경제=박수진 기자]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방한 중인 가운데 한국과 러시아 기업 간의 민간 경제교류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한국무역협회(무협)와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양국의 경제협력 확대방안 논의를 위한 ‘제 6차 한-러 비즈니스 다이얼로그’를 13일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개최했다.

박근혜 대통령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발의 이후 최초로 마련 된 양국 기업 간 대화의 장인 만큼 현대중공업, 대우조선해양, 한국전력 등 국내 주요기업을 비롯해 양국 기업인 350여명이 참석해 성황을 이뤘다.

‘한-러 비즈니스 다이얼로그’는 지난 2008년 창설된 양국 기업 간 공식 대화기구로 지난 5년 동안 한국과 러시아 양국에서 번갈아 개최되며 양국의 경제협력에 물꼬를 트는 역할을 해왔다.

이번 회의는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발의 이후 최초로 마련된 기업인 간 교류의 장으로 양국의 ▷에너지ㆍ자원 협력 ▷지역개발 및 투자협력 ▷교통 및 인프라 협력 ▷통상 및 중소기업 협력 등 4개의 주제를 바탕으로 유라시아 프로젝트를 구체화 할 다양한 협력 방안이 논의 됐다.

한국전력, 농어촌공사, 스마트그리드사업단, 에스원, 한국선급 등은 러시아 기업 및 유관 단체와 사업 교류 양해각서(MOU)를 체결하는 등 구체적인 협력 관계를 맺기도 했다.

양국 간 상생의 경제협력 관계 구축을 위한 경제인들의 요구사항도 이어졌다. 허창수 전경련 회장은 이날 개회사를 통해 “러시아의 복잡한 인허가 절차를 간소화 해야한다. 러시아 입국 비자 문제가 양국 정부의 노력으로 해결된 것이 좋은 예가 될 것”이라며 양국 정부에 규제 간소화를 요청했다.

허 회장은 이어 “러시아가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극동지역 개발’에 많은 한국 기업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을 당부드린다”고 강조했다.

한덕수 무협 회장도 “지리적 인접성과 상호 보완적 경제구조를 갖고 있어 양국의 협력은 산업경쟁력을 키울 수 있는 좋은 기회”라며 “러시아 극동지역 공동개발, 첨단과학기술의 교류확대, 남북러 복합물류사업, 가스관 연결 사업 공동추진 등 다양한 분야에서 보다 구체적인 협력사업의 추진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양국 기업인 간의 일대일 비즈니스 미팅 기회도 마련돼 구체적인 사업 교류가 진행되기도 했다.



sjp10@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