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불황 때문에”...부실채권시장 연간 7조원
[헤럴드경제=김양규 기자]부실채권(NPL·Non Performing Loan) 시장이 연간 7조원 규모로 팽창하는 등 과열 양상을 보이고 있다. 경기 침체로 매년 15조~16조원의 부실채권이 쏟아지고 있으며, 이렇다할 투자처를 찾지 못한 연기금 등의 거액 자금도 부실채권 투자에 몰리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시장이 과열되면 채무자가 악성 채권추심에 노출될 위험성이 커지는데, 금융당국의 감독 및 규제를 받지 않고 있어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권은 올해 매각 및 상각 등으로 약 15조 1000억원의 부실채권을 정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은행들이 매각 및 상각하는 부실채권 규모는 지난 2008년 6조원에 불과했으나, 금융위기 후 이듬해 13조 6000억원으로 급증했다. 지난해에는 15조 6000억원에 달했다.

은행권은 매 분기마다 매각·상각 채권의 일부를 자산관리회사(AMC)로 불리는 자산유동화 회사를 상대로 경쟁입찰에 부친다. 연간 입찰규모는 6조~7조원가량이다. 시장 구조는 연합자산관리(유암코)와 우리F&I가 전체 물량의 70~75%를 흡수하고, 한국개발금융과 파인트리자산운용 등 후발주자와 군소업체가 나머지 물량을 인수하는 식이다.

NPL 시장은 기대수익률이 연 10%까지 오른 것으로 알려져 지난달 외환캐피탈이 진출을 선언한 데 이어 일부 지방은행과 보험사들도 컨소시엄 구성을 검토 중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최근에는 연기금까지 비교적 수익률이 높은 NPL 시장에 눈독을 들여 몇몇 후발 업체에 자금을 대는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실제로 여러 대부업체가 무담보 NPL을 사들인 후 불법 추심을 동원, 채권을 회수해 짭짤한 수익을 올린 것으로 알려졌다. 담보가 있어도 부동산 가격 하락 탓에 채권 회수가 덜 되면 2차 시장(secondarymarket)으로 불리는 ‘잔존채권’ 매매로 넘겨 극심한 추심에 나서기도 하는 등 금융소비자 피해가 우려된다.

대부업체의 무분별한 채권 추심 등으로 금융당국에 민원이 들어오거나, 제재를 당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그럼에도 시장 혼탁 방지와 불법 채권추심 예방을 위해 정부가 추진해온 자산유동화법 개정은 국회에서 수년째 방치돼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NPL 시장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며 “시장이 효율적이고 공정하게 돌아가도록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kyk74@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