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尹 산업부 장관 “기업들 전기 대신 등유 쓰도록 바꾸겠다”…다음달 산업용 전기료 5~6% 인상할 듯
[헤럴드경제=윤정식 기자]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전기요금 체계 개편과 관련 “지금껏 등유나 벙커C유를 써야할 곳에 값싼 전기를 사용한 기업들이 스스로 바꾸도록 만들겠다”고 말했다.

윤 장관은 지난 25일 과천 정부청사 집무실에서 가진 헤럴드경제와 단독 인터뷰에서 “기업들도 스스로 등유나 벙커C유를 사용해도 되는 부분까지 전기를 사용해왔다고 인정했다”며 예정대로 11월 전기료 요금인상 계획을 추진할 뜻을 분명히 했다.

인상 폭에 대해 윤 장관은 “기업들이 다른 에너지 대신 전기를 쓸 마음이 사라질 정도가 될 것”이라면서도 “단 반드시 전기로 가동시켜야 하는 부문들까지 요금 부담 때문에 다른 에너지원 방식으로 바꿀 정도의 큰 폭의 인상은 아니다”고 말했다.

전기료 인상폭의 구체적인 숫자를 제시한 것은 아니지만, 전기를 대체하는 다른 에너지원들과 비슷하거나 이를 약간 상회하는 수준이 될 전망이다. 산업계에서는 대체 에너지원들과의 형평을 고려했을 때 5~6%의 인상폭이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윤 장관은 국가에너지기본계획과 관련해서는 이명박 정부 당시 상황 인식에 문제가 있었음을 인정했다. 그는 “지난 정권 초 (제1차 에너지기본계획 수립 당시 수요예측이 비현실적이었다”며 “이를 제6차 전력수급계획 당시 현실에 맞게 수정했고 박근혜 정부 들어 제2차에너지기본계획도 이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다”고 말했다.

최근 불붙고 있는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가입과 관련 윤 장관은 원칙적으로 필요하지만 협상 참여 시기와 방법에 대해서는 신중론을 폈다. 윤 장관은 “가입국들 간 비관세장벽 해소 등을 감안하면 TPP는 국가 경쟁력에 큰 부가가치를 창출해줄 것”이라면서 “하지만 한국은 양자 FTA(자유무역협정)를 많이 체결해놨기 때문에 최소한 일본보다는 조급하게 생각할 필요가 없다”고 강조했다.

최근 원화 강세 흐름에 대해 그는 “일본 기업들도 환율에 상당히 민감한 상황인데 국내기업 입장에서도 현 환율 상황이 큰 충격이 될 것”이라며 기업들의 채산성 악화를 우려했다.

yj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