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명품사랑…뜨거운 美, 식어가는 中
美 명품소비 급증…올 101조원 예상
시장규모 6% 늘어…성장률도 中 추월


연방정부 셧다운(업무 일시 중지)과 재정 위기에도 불구, 최근 경기 회복세에 힘입어 미국인들의 명품 소비 성장세가 중국을 추월했다.

29일 글로벌 컨설팅업체 베인앤컴퍼니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미국 소비자들의 명품 소비는 전년대비 4% 늘어난 690억유로(약 101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미국인들의 소비 증가에 힘입어 올해 전 세계 명품 시장 규모는 전년보다 6% 늘어난 2170억유로(약 317조5773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는 지난 5월 전망치인 4∼5%보다 상향 수정된 결과다.

그러나 대대적인 사정 바람의 후폭풍으로 올들어 중국인들의 ‘명품 사랑’은 시들해지고 있다. 지난 한 해 동안에만 20% 급증했던 중국 본토 내 명품 소비는 올해엔 이에 한참 못 미치는 2.5% 성장에 그칠 것으로 예측됐다.

이에 따라 중국을 포함한 아시아 명품 소비 규모(일본 제외)는 올해 460억달러(약 67조3744억원)에 그칠 것으로 보여 미국의 전체 소비액을 크게 밑돌 전망이다.

이같은 중국의 소비 위축에 대해 클라우디아 다프리치오 베인 파트너는 “중국의 명품 시장이 성숙 단계에 진입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수년 간 중국의 명품시장은 두자릿수의 경제 성장에 힘입어 매년 폭발적으로 팽창해왔다. 지난 2010년과 2011년에도 중국 내 명품 소비액은 30% 이상 증가하며 규모를 늘려왔다.

하지만 명품을 구매하려는 소비자들의 신규 시장 진입 증가세가 주춤하면서 중국의 명품시장에서도 저성장이 일반화되기 시작했다. 특히 최근 성장률 7%대에 계속 맴돌고 있는 중국 경제와 시진핑(習近平) 정부의 강력한 반부패 정책은 중국인들의 명품 소비심리에 타격을 입힌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또 이번 조사에서 그동안 대표적인 명품 소비국이었던 일본은 유일하게 소비액이 감소한 것으로 드러났다. 올해 일본의 명품 소비액은 지난해보다 20%나 후퇴해 170억유로(약 24조8992억원)에 머물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엔화 약세를 내건 ‘아베노믹스’의 영향으로 일본 내에서 판매되는 해외 명품의 가격이 올라가자 지갑을 아예 닫아버리는 일본인이 늘었기 때문이다. 

강승연 기자/sparkli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