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공안통-특수통간 세력다툼 징조?
박근혜정부 들어서 공안통 출신 급부상
권력 이동과정 특수통 불편한 심기표출



윤석열 전 국정원사건 특별수사팀장(여주지청장)의 항명 사태는 검찰 내 공안통과 특수수사통 간 해묵은 세력 다툼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공안 및 특수수사라인은 수사력을 검증받은 유능한 검사들이 모이는 곳으로, 검찰의 수뇌가 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거쳐야 하는 통과의례로 받아들여졌다. 실제로 역대 검찰총장은 대부분 공안-특수수사통 검사들로 채워졌다. 하지만 공안통과 특수수사통은 정권성향에 따라 출세 향방이 달랐다. 군사정권 시절부터 문민정부에 이르기까지는 공안통 검사들이 검찰총장에 올랐다. 김기춘 현 대통령 비서실장도 한때 공안통 검사로 이름을 날리다 검찰총장을 역임한 바 있다.

하지만 국민의 정부 들어 사정이 달라졌다. 공안통 대신 기획통과 특수통 검사들이 검찰총장에 잇따라 등극했다. 참여정부 때도 김종빈, 정상명, 임채진 등 수사기획과 특수통 검사들이 총장자리를 꿰찼고, MB 정부 들어서도 흐름은 바뀌지 않았다. 기류가 변한 것은 박근혜정부 들어서다. 새 정부 초대 검찰총장인 채동욱은 특수통 출신이지만 법무장관과 서울중앙지검장이 공안통 출신으로 채워지고, 헌법재판소장 역시 대검 공안부장을 지낸 인사가 부임하면서 공안통으로 무게중심이 쏠렸다는 평가가 나왔다.

이 같은 맥락에서 검찰 안팎에서는 윤 전 팀장의 항명사태는 이러한 권력의 중심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공안-수사통 간의 갈등이란 분석이 제기된다. 실제 윤 전 팀장은 특수수사에서 잔뼈가 굵은 검사이고, 조 지검장은 공안통 핵심인맥으로 분류된다. 여기다 특수통 검사의 좌장이던 채동욱 전 검찰총장이 최근 급작스럽게 낙마하면서 위기의식을 느낀 특수통 검사들이 불편한 심기를 표면화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조용직 기자/yjc@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