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경제 =원호연 기자]“오늘 사무총장이 감사원장보다 더 큰 자리에 앉아 있는 것 같다. 감사원을 대표하는게 사무총장인가? 경고하는데 경거망동하지 말라”
15일 열린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감사원 국정감사에서 권성동 새누리당 의원이 던진 말이다. 대상은 성용락 감사원장 직무대행이 아니라 김영호 사무총장이었다.
이날 국감의 주인공은 단연 김 사무총장이었다. 대부분의 질문도 김 사무총장에게 쏟아졌다. 4대강사업에 대한 감사결과가 3번 그때그때 달라 ‘정치 감사’논란을 불러온데다, 양건 전 감사원장이 내부갈등으로 사임하면서 ‘실세 사무총장’으로 일컬어지는 김 사무총장에 관심이 집중된 것.
실제, 김 사무총장은 ‘청와대의 복심’으로 불린다. 전임인 김정하 전 사무총장이 다른 간부들과 함께 박근혜정부 출범후 형식적으로 일괄 사표를 제출했는데, 김 사무총장으로 전격 교체됐다.
김 사무총장은 역시 감사원 관련 이슈를 쥐고 흔들었다. “(4대강을 대운하로 바꿔 추진한 것이) 이명박 전 대통령의 책임이라고 생각한다. 이에 동의하나”라는 민주당 이춘석 의원의 질의에 “일정부분 책임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 전 대통령의 사법처리를 검토해지만 대상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고도 했다.
여야 의원들은 김 사무총장의 발언을 놓고 설전을 벌였다. 야당은 이 전 대통령의 횡령 및 배임죄 적용을 주장했고 여당은 “감사원이 전지전능한 것이 아니다”며 “4대강 사업은 200년을 내다본 정권의 주요 국책사업”이라고 맞받아쳤다. 논란이 가열되자 김 사무총장은 “법적 책임이 있다는 것이 아니라 (4대강의) 수심이 깊어진 데 이 전 대통령의 의중도 영향이 있었다는 의미”라며 한발 물러섰다.
결국 성 대행은 “김 사무총장의 의견은 감사위원회의 의결을 거치지 않았기 때문에 공식입장으로 볼수 없다”며 상황을 무마하느라 진땀을 흘려야 했다.
4대강 사업이 실제 운하인지에 대해서도 질문마다 다르게 해석되는 답변을 내놓아 혼란을 가중시켰다. 새누리당 노철래 의원이 “현재 4대강이 대운하냐”고 묻자 “(공사가 끝난 현재로선) 대운하가 아니다. 다만 보고서에는 운하 추진에 지장이 없도록 했다고 표현했다“며 애매한 답변을 내놨다.
뒤이어 같은 당 이주영 의원이 “그러면 왜 대운하라면서 이 전대통령 책임 운운하냐”고 묻자 “저수로 폭이 400~500m라 배가 다닐수 있다. 대운하 연구회가 참고한 독일 RMD 운하도 수심이 4~5m인데 충분히 배 다닌다”며 운하로 시공됐다는 뉘앙스를 풍겼다.
why37@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