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文 “나 소환해!”, 친노 재결집 신호탄?...민주당 ‘당혹’, 새누리 ‘맹비난’
‘나를 소환하라’는 문재인 의원의 한마디에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실종 정국’이 또한번 격랑 속으로 빠져들고 있다. 문 의원이 소환되면 1987년 민주화 이후 대선 후보로서는 첫 사례가 된다. 김한길 대표의 원내복귀로 대화록 정국을 마감지으려던 민주당 지도부는 당혹감이 역력하다. 새누리당은 “당연히 소환될테니 사과가 먼저”라며 공격에 나섰다. 북한의 ‘방북인사 발언 공개’ 협박도 제3의 변수다.

문 의원은 10일 “검찰은 짜맞추기 수사의 들러리로 죄 없는 실무자들을 소환해 괴롭히지 말고 나를 소환하라”고 밝혔다. 지난 4일 “대화록은 있고 NLL포기발언은 없었다”는 발언 이후 6일만에 ‘나 소환’ 정공법을 꺼낸 것이다.

‘주변인들을 괴롭히지 마라’는 표현은 노무현 전 대통령의 유언 중 “나로 말미암에 여러 사람이 받은 고통이 너무 크다”는 표현과 맥이 닿는다. 친노 세력을 자극할만한 표현이다. 이 때문에 이날 문 의원의 발언을 당 내 ‘문재인 책임론’ 확산을 막으려는 포석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노무현 수사방식’으로 당내 친노 재결집은 노렸다는 해석이다.

민주당 지도부는 당혹스러워하고 있다. 친노의 뜻대로 45일 간이나 천막농성을 벌인 김한길 대표가 겨우 국회에 복귀했는데, 자칫 친노들이 또다시 강공을 주문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는 민주당 지도부는 문 의원 발언 이후 제대로된 공식반응이나 언급을 전혀 내놓지 못한 데서도 확인된다. 11일 국정감사 출정식을 겸한 당 지도부 회의에서도 문 의원에 대한 언급은 전혀 없었다.

김관영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11일 헤럴드경제와의 통화에서 “검찰 수사가 마녀사냥 식으로 흘러서는 안된다”면서 “(문 의원이) 사건 수사의 당사자로서 그렇게 얘기 할 수 있는 것 아니겠느냐”고만 말했다.

반면 강은희 새누리당 원내대변인은 “사과나 해명이 아니라 전임 대통령의 죽음을 들먹이며 검찰을 비판했다”며 “문 의원과 노무현 재단 관계자의 해명은 너무 뻔뻔스럽다”고 즉각 비난했다.

한편 북한 조국평화통일위원회는 10일 “남측 인사들의 방북 당시 발언을 공개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2002년 방북해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만났을 때, 배석한 북측 속기사가 둘 간의 대화를 기록한 것으로 알려졌다.

홍석희 기자/ho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