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인천, 대규모 지역사업 재원마련 못해 난항
-무리한 사업추진에 정부 지원 외면…위상 실추



[헤럴드경제=이도운(인천) 기자]인천경제자유구역을 중심으로 펼치고 있는 인천의 대규모 사업들이 지역 발전을 위해 화려하게 출발했지만 재원 마련이 힘겨워 난항만 계속되고 있다.

이는 각종 대규모 사업들의 무리한 추진과 정부의 재원 지원 외면 등으로 불거진 상황이어서 동북아를 자처하는 인천의 위상을 실추시키고 있다.

7일 인천시와 인천경제자유구역청에 따르면 시는 재정난을 겪는 가운데 수천억원의 재정 투입으로 비판받던 인천 송도 워터프런트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재원 마련과 민간 사업자 유치 등의 문제가 풀리지 않아 여전히 숙제로만 남고 있다.

인천경제청이 작성한 ‘워터프런트 기본계획 수립용역 중간보고 및 제3차 자문회의’를 살펴 보면, 전체 사업비는 인천경제청 3490억원, 송도 6ㆍ8공구 개발사업자 1670억원, 11공구 개발사업자 1740억원 등 모두 6900억원으로 나타났다.

오는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진행되는 이 사업들 가운데 6ㆍ8공구 개발사업자가 부담할 공사비 마련이 숙제로 남아있다.

현재까지 이 개발사업자는 송도랜드마크시티유한회사(SLC)로 돼 있지만 인천경제청과 SLC의 협약 수정 협상이 몇년째 난항을 겪고 있다.

또 시와 인천경제청이 추진하고 있는 송도 랜드마크 151층 인천타워(가칭) 사업도 수년째 지지부진하다.

시와 경제청은 송도 6ㆍ8공구에 사업비 18조8706억원을 들여 5.83㎢ 규모의 151층 인천타워 건설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사업시행은 미국 포트만홀딩스와 삼성물산, 현대건설, SYM이 공동설립한 송도랜드마크시티유한회사(SLC)가 맡고 있다.

당초 인천타워는 2014인천아시아경기대회에 맞춰 외관을 먼저 개장한 뒤 오는 2015년까지 완공할 예정이었으나 부동산 경기가 침체되면서 재원 마련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등 아직 첫 삽도 뜨지 못하고 있다.

특히 SLC 측이 사업 규모 축소와 사업부지 매수권 회수 등을 요구하고 나서 지난 2~3년간 결론 없는 재협상만 벌이는 상황이다.

인천 로봇랜드 조성 사업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사업 지정 4년만인 지난 26일 기공식을 가졌지만 사업비 7500억원 마련 방안은 여전히 깜깜한 상태다.

로봇랜드는 청라국제도시 76만7286㎡ 부지에 로봇산업진흥시설과 테마파크, 부대시설로 나눠 조성된다. 사업비는 국비 595억원과 시비 1475억원, 민자 5514억원 등 모두 7584억원이다.

그동안 사업추진의 큰 걸림돌이었던 이중사업자 문제는 해결됐지만 재원 마련이 문제다.

시는 우선 내년 국비 130억원을 확보해 로봇산업진흥시설을 짓겠다는 계획이다. 또 내년 본예산에 200억원을 세워 기반시설 공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기반시설 비용(880여억원)은 LH공사가 부담키로 약속해놓고 이를 지키지 않아 결국 시가 부담하게 됐다.

하지만 시는 국비를 추가로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재정압박에 시달리는 정부에 추가예산을 바라기는 어려운 일이다.

더 큰 문제는 민자유치다. 로봇랜드의 핵심인 테마파크 조성을 위해서는 5000억원이 넘는 재정이 필요하지만 아직까지 가시화된 투자유치 계획은 없다.

이밖에 인천의 오랜 숙원이자, GCF(녹색기후기금) 인천 유치로 송도가 국제도시로 발돋움하기 위한 교통 여건의 첫 관문인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건설 사업(송도~청량리)과 인천도시철도 2호선 사업들도 정부의 재정지원 외면으로 위기를 맞고 있다.

gilber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