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서울시 자살률 6년만에 감소세
지난해 서울시 자살률이 6년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서울시는 통계청의 사망원인통계를 분석한 결과 2012년 서울시내 자살률은 23.8명으로 2011년(26.9명)보다 3.1명(11.5%)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자살률이 감소하기는 2006년 이후 처음이다.

서울시의 자살률은 2006년 17.1명, 2007년 20.1명, 2008년 21.6명, 2009년 26.1명, 2010년 26.2명, 2011년 26.9명 등으로 계속 늘어났지만 지난해 제동이 걸렸다. 자살률은 인구 10만명당 자살자 비율이다.

자살률은 남성이 2011년 37.4명에서 2012년 32.1명으로 14.2% 감소, 여성 자살 감소율(6%)보다 배 이상 하락했다. 연령대별 자살률 하락폭은 20대가 28.4%, 70세 이상 16.1%, 40대 14%, 30대 11.5% 등이다.

자치구별로 서초구의 자살률이 10만명당 14.7명, 종로구는 16.1명, 광진구는 17.2명, 송파구는 17.6명으로 평균보다 낮았지만 강북구는 26.9명, 용산구는 26.7명, 관악구는 24.6명으로 평균보다 높았다.

연령구조가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을 제거한 연령표준화 자살률을 기준으로 보면 작년 서울시의 자살률은 10만명당 21.1명으로, 17개 시ㆍ도 중 가장 낮았다. 전국에서 자살률이 가장 높은 세종시(인구 10만명당 33.6명)의 3분의 2 수준이다.

강종필 시 복지건강실장은 “자살 고위험 지역에 대한 집중관리와 생애주기별 안전망 구축으로 실효성 있는 자살예방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며 “OECD 주요 국가보다 자살률을 낮추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황혜진 기자/hhj6386@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