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급식사업도 한류…CJ프레시웨이 베트남에 10번째 급식장 열어
[헤럴드경제=도현정 기자]CJ프레시웨이가 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급식 한류’를 주도하고 있어 눈길을 끈다.

CJ프레시웨이는 지난 27일 베트남에서 10번째 단체급식장을 열었다고 밝혔다.

CJ프레시웨이의 10번째 베트남 급식장은 ‘노브랜드’의 생산 공장으로, 일일 9000명의 직원들의 식사를 책임져야 하는 규모다. ‘노브랜드’는 1994년 창업한 글로벌 의류생산 기업으로 서울과 뉴욕, 상하이 등에 지사를 두고 있다. DKNY, 게스 등의 브랜드를 고객사로 보유한 곳이다.

CJ프레시웨이는 지난해 1월 화승의 베트남 생산공장을 시작으로 락앤락, 효성 등 베트남 현지에 진출한 한국기업 8곳의 생산 공장에 단체급식을 제공하고 있다. 글로벌 체인병원인 호아람의 병원급식과 이번 노브랜드 급식장까지 하면 베트남 급식 규모는 총 일일 2만식이다.


중국에서도 23곳의 단체급식장이 운영되고 있다. 중국은 지난해 하반기 상하이 전문 급식업체를 인수하면서 진출했고, 상하이 등을 중심으로 23곳에서 일일 4만식 규모의 단체급식장을 운영중이다. 주 고객사는 화승과 농심, 오리온 등 중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의 생산공장이다.

CJ프레시웨이는 국내에서 지난해 400여 급식장에서 일일 17만식 규모의 급식서비스를 제공해, 1800억원의 매출을 올리기도 했다. CJ프레시웨이는 중국에 ‘제 2의 CJ’를, 베트남에 ‘제 3의 CJ’를 건설한다는 그룹의 글로벌 계획에 맞춰 급식사업에서도 글로벌화를 활발하게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박승환 CJ프레시웨이 대표는 “해외에서 현지 업체보다 식품안전 관리를 강화해, 현지의 한국법인들뿐만 아니라 글로벌 업체 등에서도 신뢰를 구축하고 있다”라며 “아직 진출 초기라 투자 개념으로 손익을 따지기에는 이르지만 철저한 식품 안전 관리와 지속적인 메뉴 개발 등을 통해 우리나라 단체급식업체의 글로벌 성공 사례를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CJ프레시웨이는 지난해 180억원 상당의 매출이 났던 글로벌 사업의 규모를 확대해 향후 동남아 지역 진출 국가를 늘리고, 2017년께에 400억원까지 매출을 끌어올릴 계획이다.

kate01@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