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전기요금 시간대 별 차별화로 新시장 창출…이야말로 창조경제”
[헤럴드경제=윤정식 기자]‘창조경제’를 핵심 국정과제로 내세운 박근혜 정부가 경제 정책 방향의 기틀을 ‘수요자중심 환경조성’으로 잡았다. 그동안 ICT와 과학기술의 융합 등 모호한 정의로 혼란이 지속됐던 창조경제의 정의가 명확해진 셈이다.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4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서 열린 제 1회 헤럴드 창조경제포럼(제 28회 이노비즈 모닝포럼)에서 “이제 정부가 방향을 정하면 기업들이 무조건 따르는 경제정책이 먹히는 시대는 끝났다”며 “인류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 지를 파악하고 이를 반영한 정책을 민간과 함께 만들어 가는 것이 정부가 추구하는 창조경제의 기치”라고 말했다.

윤 장관은 사례를 들어 “에너지저장시스템(ESS)나 고효율 전자기기들을 만드는 기술, 이에 걸맞는 인력들이 시장으로 쏟아져도 시장이 이를 받아주지 못하면 소용없다”며 “경부하 때와 피크부하때의 가격차를 크게 해 이런 시스템들이 시장에 안정적으로 진입할 수 있게 시장의 틀을 만들어주는 것이 바로 창조경제”라고 말했다. 시장이 어떤 흐름으로 가는지를 반영한 대표적인 수요자중심 정책이라는 것.

이에 김병규 아모텍 회장은 보다 구체화된 사례를 제시했다. 김 회장은 “최근 모든 산업은 자동차와 전자기기부터 디자인 산업까지 모두 ‘고효율’이 시장의 트렌드가 됐다”며 “중소기업으로서는 어떤 업종이든 해당 분야의 글로벌 1, 2위 대기업들이 고효율 제품을 만들기 위해 어떤 부품 생산 지원을 바라는 지 미리 알고 준비했다면 지금 큰 성공을 거두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민화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는 “중소기업은 기술혁신에 집중하고 대기업은 시장 플랫폼 구축을 우선적으로 하다보면 결국 창조경제의 핵심인 초협력적 생태계 경기 구축이 완성될 수 있다”고 말했다.

yj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