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각종 ‘포퓰리즘 공약’ 줄줄이 빨간불
[헤럴드경제=하남현 기자] 기초노령연금 공약 축소를 계기로 박근혜 대통령이 내걸었던 각종 공약들의 실현 가능성이 재차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보건, 교육분야 주요 복지공약을 비롯해 천문학적 비용과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사회간접자본(SOC)투자와 같은 지방공약들 중 상당수가 재원 마련 대책과 그 필요성에 대한 구체적인 검증없이 표심만을 겨냥한 소위 ‘포퓰리즘’ 공약이 아니냐는 비판을 받고있다. 세금은 걷히지 않고 쓸 곳은 많은 현 상황에서 상당부분 공약들이 원안보다 후퇴되는 조짐이다. 아울러 박 대통령이 최근 처음으로 언급한 직접 증세 관련 논란도 불거질 것으로 보인다.

▶재원마련 계획도,실효성도 없는 복지공약= 박 대통령의 대선공약집에는 현실성이 지극히 낮은 공약들이 곳곳에 숨어있다.

기초연금을 비롯해 4대 중증질환 무료공약, 기초생활 보장 확대 등 보건복지 3대공약이 대표적이다. 공약집에 따르면 기초연금의 경우 당초 65세 이상 모든 노인에게 월 20만원을 지급하겠다고 했으나 소득하위 70% 이하로 축소될 가능성이 크다.

암을 비롯해 심장, 뇌혈관, 희귀성질환 등 4대 중증질환에 대한 진료비 전액 지급 공약 역시 환자가 50% 이상을 부담하는 방향으로 후퇴될 것으로 보인다.

기초생활보장제의 경우 정부가 내년부터 수급 대상을 현재 83만가구에서 내년 110만 가구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2017년까지 6조3000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보이는 재원 규모는 여전히 부담이다.

교육분야 복지공약도 논란이 끊이지 않아왔다. 대학 반값 등록금 및 고교 무상교육 시행은 재원조달의 의문성과 더불어 정책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비판이 나왔다.

박 대통령은 내년부터 반값 등록금을 전면 시행하겠다고 공약했으나 정부는 아직까지도 이렇다할 로드맵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2017년까지 5조2000억원이 소요되는 비용문제는 물론 부실 대학이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대학생숫자만 늘려 대학 교육 내실화를 지연시킬 수 있다는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2017년부터 전면 시행되기로 한 고교 무상교육 시행 역시 마찬가지다. 재정이 빠듯한 상황에서 고속득층 자녀에게도 고교 등록금을 받지 말아야되느냐에 대해서는 주장도 나온다.

▶사업성없는 선심성 지방 공약= 박 대통령이 대선 당시 약속한 105개 지방공약 역시 보류나 대폭 수정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앞서 기획재정부는 이들 지방공약을 이행하는 데 모두 124조원의 사업비가 들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엄청난 재원 확보도 문제지만 지역 표심을 의식한 나머지 사업필요성에 의문이 제기되는 선심성 공약들도 상당수 있다. 이미 사업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증명된 공약도 다수 존재한다.

정치색이 짙은 공약으로 동남권 신공항 사업이 대표적이다. 이 사업은 이명박 정부 시절 경제성 미비로 백지화됐지만 부산 민심을 얻기위해 되살아났다. 12조원 이상이 들 것으로 예상되는 이 사업이 과연 절실히 필요한지는 여전히 부정적인 시각이 팽배하다.박 대통령이 경기도 유권자들에게 내건 ‘수서발 KTX노선 의정부 연장’은 2조원 이상의 비용이 들 것으로 보인다. 인천에서 약속한 ‘경인고속도로 통행료 폐지 및 지하화’는 1조원이 넘는 예산이 필요하다. 역시 불요불급(不要不急)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는 사업들이다.

주요 지방공약들은 이미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해 ‘사업성 없음’으로 결론나기도 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예비타당성 조사결과 경북 포항과 강원 삼척을 잇는 고속도로는 6조5000억원 이상이 투입되는 대규모 SOC 공사지만 편익-비용(B/C) 비율은 0.26~0.27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비율은 통상 1이 넘어야 경제성이 있는 사업으로 분류한다. 2조3000억원이 넘게 소요되는 강원도 춘천~속초 동서고속화철도의 B/C 비율은 0.49~0.75에 머물고 있으며 3조1160억원이 들 것으로 예상되는 중부내륙철도 복선화의 B/C비율은 0.29에 불과하다.

이에 대해 정부는 “사업성이 떨어지는 공약도 국가발전전략과 지역균형발전 등을 고려해 우선순위를 두고 구체적인 실현이 가능하도록 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중앙ㆍ지방정부의 재정이 모두 넉넉치 못한 상황에서 일부 사업의 경우 큰 폭의 수정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airinsa@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