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당국 ‘外資경계령’…“국내금융 교란 안돼”
[헤럴드경제=조동석ㆍ서경원 기자]미국의 테이퍼링(taperingㆍ자산매입 축소)이 연기되면서 일부 신흥국에서 이탈된 외국인 자금이 한국시장으로 급속 유입됨에 따라 정부 당국은 경계경보를 발령했다. 핫머니(투기성 단기자금)를 포함한 갑작스런 자금유입은 국내 금융시장을 교란시킬 수 있고, 원화 강세로 이어져 우리나라 경제의 펀더멘털(기초여건)까지 훼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정부 고위관계자는 24일 “외국인 자금의 유입은 단기적으로 호재일 수 있겠지만 중장기적으로는 한국 경제에 어지럽힐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다”면서 “긴장 속에서 상황을 예의주시하면서 만약의 상황에 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시장의 방향성이 워낙 급하게 바뀌는 만큼 유입된 자금이 급격하게 유출될 때도 대비해야 한다”면서 “원화 가치가 오르면서 수출이나 대외건전성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당국으로선 경계하는 부분”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이날 밝힌 입장은 미 연준(연방준비제도)이 출구전략 시행 의사를 밝힌 후 국내로 해외자금이 유입되고 있는 것에 대해 당국 차원의 최초로 밝힌 경고 메시지란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당국은 미 테이퍼링에 따른 자금 유출과 함께 자금 유입을 포함한 양방향 변동성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 이를 반영해 기존에 마련한 컨틴전시 플랜(위기대응 계획)도 보완키로 했다.

다만 현재까진 외환시장 개입이나 ‘거시건전성 3종세트(선물환 포지션 한도 규제, 외환건전성 부담금, 외국인채권투자 비과세 폐지)’에 대한 조정은 검토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정부 관계자는 “시장 변동성이 워낙 커 정부가 섣불리 액션을 취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면서 “긴 안목을 갖고 시장을 모니터링 하되 반드시 필요한 때에 조치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gi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