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국내 연구진, 세계 최초 암예후 분자 진단 키트 개발
암 진단은 물론 암의 진행 단계와 예후까지 판별할 수 있는 진단법이 국내 연구진에의해 세계 최초로 개발에 성공했다.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승종) 및 국립암센터(원장 이진수)의 지원을 받아 진행된 이번 연구 결과는 이미 특허출원을 마치고 내년쯤 상용화를 앞두고 있어 전 세계적으로 암 진단법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가천대 길병원 겸임교수이자 이길여암ㆍ당뇨연구원 이봉희, 변경희 교수와 아주대병원 이기영 교수, 서울대병원 백선하 교수팀은 “뇌종양 환자 400명의 조직을 키트로 진단한 결과 환자의 예후와 종양 진행 정도 등을 판별하는데 성공했다”라며 “인체의 유전자 발현 및 다양한 분자 정보를 IT 및 BT 융합 기술을 이용해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단백질들의 세포 내 위치 정보를 자동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여 암 발생 및 예후를 진단하는 방법을 발굴했다”고 밝혔다. 

(왼쪽부터) 이기영교수, 이봉희교수, 변경희교수

이번에 개발한 분자 진단법은 현재 암환자의 조직검사와 크게 차별화 된다. 조직검사가 종양이 ‘악성인지, 양성인지’를 판별하는 반면, 새로 개발된 진단법은 종양이 발생됐는지 여부는 물론 발생됐다면 종양의 예후가 좋을지, 나쁠지, 원발암인지 전이암인지, 전이될 가능성이 있는지 어떤 약이 가장 치료 효과가 좋을 지 등 다양한 정보를 진단할 수 있어 획기적이다. 연구팀은 “이번에 개발된 진단방법은 뇌종양 환자들만을 대상으로 한 것이지만 갑상선암 등 다양한 주요 암에 키트 진단을 적용할 수 있고 같은 말기암이라도 진행정도나 예후를 판별할 수 있고 진단검사기간 또한 하루 만에 검사를 결과를 알 수 있어 획기적인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연구진은 보건복지부 산하 국립암센터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약 7년에 걸친 연구 끝에 이러한 성과를 이뤄냈다. 이번 연구는 세계 최고 권위의 유전체학 전문학술지 ‘게놈 리서치’에 게재됐다. 이번에 개발에 성공한 암진단 키트는 세계적인 한 글로벌바이오기업이 깊은 관심을 표명하면서 시험용 진단시약 및 키트, 화학물질 등의 특허 사용권을 협의 중에 있어 본격적인 키트 생산을 앞두고 있다. 이번 연구 결과가 의미가 잇는 것은 최근 정부에서 추진하는 연구중심병원의 취지에도 부합한다는 점이다. 정부는 신의료기술 개발을 통한 의료 산업화를 국가 미래 성장 동력의 하나로 삼고 최근 가천대 길병원, 아주대병원 등 10개 병원을 연구중심병원으로 선정한 바 있다. 연구진은 “아직 정해진 것은 아니지만 약 10만원대 정도의 비용으로 하루 만에 종양의 여부는 물론, 종양의 진행 단계, 예후가 좋을지 까지 예상할 수 있다는 점은 추후 암을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며 “기초연구가 연구에 그치지 않고 글로벌 산업화로 이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김태열 기자/kt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