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현장에서 - 서지혜> 주파수경매 끝나자…이번엔 용어싸움
주파수 경매가 끝났다. 하지만 통신사의 입씨름은 끝날 줄 모른다. KT가 국내 최초로 ‘광대역 LTE-어드밴스트(LTE-A)’ 서비스를 9월부터 시작하겠다고 발표하자 경쟁사가 LTE-A 용어를 두고 KT에 문제 제기를 하고 나섰다.

KT는 2일 “주파수 경매 결과 황금 주파수인 1.8㎓ 인접 대역을 확보해 광대역 LTE를 9월부터 시작할 수 있게 됐다”며 “900㎒와 1.8㎓를 묶은 LTE-A도 이달부터 상용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문제는 ‘광대역 LTE-A’라는 용어를 두고 시작됐다.

SK텔레콤은 “우리는 LTE-A 기술을 세계 최초로 서비스했다는 것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며 “CA(캐리어 애그리게이션)도 적용하지 않은 채 무리하게 LTE-A라는 용어를 사용해 소비자에게 혼선을 준다”고 반발했다.

실제로 LTE 기술표준을 담당하고 있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따르면 ‘광대역 LTE-A’라는 기술표준은 존재하지 않는다. KT의 ‘광대역 LTE-A’라는 용어를 사용할 경우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 입장에서 자칫 자사가 제공하는 서비스가 비교적 좁아보일 수 있다. 작은 단어 차이에도 민감하게 반응하는 상황을 이해 못할 바는 아니다.

하지만 소비자 입장에서 이런 논쟁이 어떻게 비춰질까. 일반소비자의 관심은 LTE-A 기술표준이 아닌 통신요금이다.

KT는 ‘광대역 LTE-A’ 서비스의 국내 최초 출시를 선포하면서 이로 인해 변화할 통신요금에 대해서는 거의 언급하지 않았다.

미래창조과학부는 “광대역 LTE-A는 기업이 만든 마케팅 용어”라며 법률 검토가 무의미하다고 말했다. 실제로 LTE 서비스가 시작된 이후 통신사는 ‘세계 최초’ ‘1위’ ‘2배’ 등 소비자를 끌어모으기 위한 각종 광고 용어를 만들어냈다.

소비자는 최근 2조4289억원에 달하는 천문학적인 금액이 주파수 할당으로 오가는 장면을 목격했다. 그들은 통신요금을 걱정하고 있다. 통신사는 질 좋은 서비스에 소비자가 지불해야 할 합당한 금액부터 고민하는 것 아닌지.

gyelov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