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석연찮은 통진당 행보… 더 큰 의혹 불러
국가정보원이 이석기 통합진보당 의원실 등 17~18곳을 압수수색하자 통진당측은 ‘공안탄압’, ‘용공조작’이라며 극렬 반발했다. 그러나 통진당이 압수수색을 전후해 보이고 있는 석연찮은 행보들이 적지 않아 의혹을 사고 있다.

우선 통진당은 28일 오전 8시20분께 국회 정론관에서 브리핑을 했다. 이번 사건을 ‘유신조치’에 빗대며 공안당국이 ‘촛불세력’을 탄압한다고 주장했다. 그런데 이 때까지도 당사자인 이 의원과 접촉이 되지 않고 있다고 했다. 당사자 입장도 듣지 않은 채 국가기관의 법집행에 대놓고 반발만 한 셈이다. 28일 국정원과 검찰 등이 이번 수사 이유와 구체적인 혐의까지 설명했지만, 29일에도 이에 대한 구체적인 반박이 이뤄지지 않는 점도 이해가 어려운 대목이다.

합법적인 법집행을 계속 방해하고 있는 점도 석연치 않다. 이 의원실 보좌진들은 28일 ‘변호인 입회’를 주장하며 압수수색 영장 집행을 거부했다. 그래서 변호인이 입회했지만, 29일 오전까지도 이정희 당대표와 오병윤 원내대표 등 통진당 의원들은 이 의원 집무실에 대한 압수수색에 저항하고 있다. 통진당 측의 영장 집행 방해는 뚜렷한 법률적 근거가 없기 때문에 공무집행 방해 등 혐의가 적용될 수도 있다.

‘문서 파쇄’ 의혹도 여전하다. 이 의원실에 국정원 직원들이 도착하자 의원실 보좌진들은 철제문을 걸어잠근 채 문서파쇄기로 문서들을 없앴다. 통진당 측은 “통상적인 문서 폐기 절차”라고 주장했지만, 문 밖에 국정원 직원들이 압수수색 영장을 제시한 상태에서 문을 걸어잠근 채 이뤄진 문서 파쇄는 ‘증거 인멸’ 의혹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하다.

한편 이 의원은 29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당 회의에 참석해 모든 혐의는 ‘날조’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지난 28일 오전부터 이날 회의 때까지의 만 하루간의 행보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홍석희 기자/ho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