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남북관계 개성공단·이산가족은 쾌청, 금강산은 흐림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개성공단 정상화와 이산가족 상봉행사 준비는 맑음, 금강산 관광 재개는 흐림. 북한의 3차 핵실험과 잇단 도발 위협으로 벼랑 끝까지 치달았다가 대화국면으로 급격히 선회한 남북관계의 현재 기상도다.

남북은 다음 달 2일 개성공단에서 남북공동위 1차 회의를 열기로 29일 합의했다. 통일부 당국자는 “남북공동위가 실질적인 운영에 들어간다는 의미”라며 “1차 회의에서는 합의서에 명시된 공동위 산하 출입체류, 신변·투자자산 보호, 국제화 등을 다루는 분과위 설치 등 세부적인 문제를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남북은 전날에는 ‘남북공동위원회 구성·운영 합의서’에 최종 합의하는 등 정상화를 위한 마무리 단계에 진입한 상황이다.

합의서는 앞서 7차례에 걸쳐 진행된 실무접촉 남북 수석대표를 맡았던 김기웅 통일부 남북협력지구지원단장과 박철수 중앙특구개발지도총국 부총국장이 각각 서명하는 즉시 발효된다. 김 단장과 박 부총국장은 개성공단 남북공동위 공동위원장을 맡을 예정이다. 이에 따라 이르면 다음 주부터 개성공단의 재가동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이산가족 상봉행사 준비도 순조롭게 진행중이다. 남북은 29일 오전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생사확인의뢰서를 판문점 연락관 채널을 통해 교환했다.

남북은 생사확인의뢰서를 토대로 가족의 생사를 확인한 뒤 다음 달 13일 생사확인회보서를 교환하게 된다. 이후 생사확인회보서 생존자 중 최종 상봉대상자 100명씩을 선정해 최종명단을 교환하면 이산가족 상봉행사 준비는 모두 마무리된다.

개성공단과 이산가족 문제와 달리 금강산 관광 문제에 있어서는 실무회담 시기를 둘러싼 남북의 치열한 신경전이 펼쳐지고 있다.

북한은 우리측이 당초 안이었던 ‘9월 25일’보다 일주일 뒤인 ‘10월2일’을 수정 제안한데 대해 유감을 표명하고 재고를 요청했다. 하지만 우리 정부는 심사숙고해 결정한 내용이라며 북한의 호응을 기대한다는 입장을 다시 전달해 재고는 없을 것임을 분명히 했다. 이에 따라 남북은 금강산 실무회담 개최시기를 놓고 한동안 밀고당기기를 되풀이할 것으로 보인다.

신대원기자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