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투데이> 반미주의자에서 국회의원까지 이석기의 종말은
‘종북 논란의 진앙’ 이석기 통합진보당 의원이 돌아왔다. 통진당 비례대표 경선 부정 사건과 애국가를 부정하는 등 종북행보로 언론의 집중 조명을 받았던 때로부터 1년여만이다. 이번엔 더 큰 건이다. 거칠게 말해 ‘종북’이 개인 신념의 문제였다면 이번엔 ‘내란음모’ 사건의 주모자다. 법률적으로만 따지면 사형까지도 언도받을 수 있는 사안이 그에게 드리워진 혐의다.

거론되는 단어들도 무시무시하다. ‘총기 탈취’, ‘유류고 방화’, ‘파출소 습격’ 등은 그가 130여명이 회합한 자리에서 꺼낸 단어들이다. 지난 한해 통진당에 지급된 국고는 수십억원대. 같은 물이라도 소가 마시면 우유가, 뱀이 마시면 독이된다고 했다. 국가정보원이 그에게 적용한 혐의대로라면 통진당에 지급된 국고는 1년후 ‘내란음모 지원금’이 돼 돌아오게 된 셈이다.

한국 외국어대 용인캠퍼스 중국어통번역과를 졸업한 그가 세간에 알려진 것은 지난해 통진당 비례대표 부정경선이 계기였다. 진보세력 내에서도 생소한 인사였던 ‘이석기’는 지난해 4월 총선에서 통진당 비례대표 2번이 됐다. ‘당원들이 비례대표 순서를 정하자’는 순수한 의도가 특정인을 국회의원으로 만들자는 부정경선으로 이어진 것은 ‘조직’과 ‘조작’의 힘이 컸다. 당 자체 조사결과 뭉텅이 투표, 동일 IP 중복투표 등이 확인됐고, 정치권에선 ‘부정경선’으로 의원이 된 이 의원에 대해 의원직 강제 박탈까지 검토했지만 관련 절차가 진행되지는 않았다.

이 의원은 학창시절 열렬한 ‘반미주의자’였다. ‘김일성 주체사상’을 가슴에 담고, 북한을 남한이 추종해야할 이상적 모델이라 생각했다. ‘전쟁시 북한 움직임에 호응하자’는 ‘내란음모’의 처음은 그가 학창시절 때부터 가슴에 담고 살았던 일종의 ‘종교’같은 것이었다. 그는 2002년 5월 남한에 사회주의 정부를 세우려한 민족민주혁명당(민혁당) 사건으로 지난 2002년 5월 체포돼 2년 6개월형을 선고받았다. 이후 참여정부에서 실시된 가석방과 특사로 그는 ‘재활’의 길을 걷게된다.

그가 대표로 있었던 선거기획사 C&P(현C&C커뮤니케이션즈)는 ‘세력확장’의 도구였다. 수도권 대학들에 총학생회 선거 인쇄물과 선거 기획을 도와줬고, 이 때 모은 자금은 ‘종북’의 근거지로 여겨지는 경기도 모처로 흘러들었다. 이곳 지역에선 이 의원의 세력이 막강해 구청에서 청소 용역직에 누구를 넣을지까지도 꼼꼼히 관할할 정도의 세력을 과시했다.

지난 28일 ‘잠적’으로 온갖 추측을 낳게했던 이 의원이 29일 몸을 드러냈다. 그는 자신에게 적용된 혐의 전체가 ‘날조’라고 했다. 국정원은 ‘녹취록’이 있다며 혐의 입증을 자신하고 있다. 압수수색은 통상 관련자 조사 등이 마무리된 상태에서 이뤄진다. 홍석희 기자 ho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