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추석 이산가족상봉 열릴까.. 23일 남북적십자회담 주목
[헤럴드생생뉴스] 다음달 추석에 이뤄질지도 모를 이산가족 상봉행사의 성사 여부를 놓고 23일 열리는 남북 적십자 실무접촉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2010년 10월 이후 처음으로 이뤄질 것으로 보이는 이산가족 상봉 행사의 장소와 일시, 상봉 규모 등 실무적인 문제는 물론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 대북 지원 문제 등에 대한 폭넓은 논의가 이뤄질 전망이다.

일단 상봉 시기는 다음 달 19일인 추석 이후가 될 가능성이 적지 않다.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 15일 광복절 경축사에서 이산가족 상봉 행사 개최를 제안하면서 시기를 ‘추석 전후’로 언급한 바 있다.

그러나 상봉 행사 실무를 주관하는 대한적십자사 내부에서는 추석까지 3∼4주밖에 남지 않은 상황에서 현실적으로 추석 이전에 상봉 준비작업을 마치기 어렵다는 의견이 제기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상봉은 9월 말께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

상봉 장소의 경우 북한은 금강산을 이미 제시해 둔 상태이다. 반면 우리는 아직 구체적인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대면상봉은 그동안 1∼3차 때만 서울과 평양 동시교환 방문 형태로 이뤄졌고 4차 상봉부터 최근의 2010년 10월 18차 상봉 행사까지는 모두 금강산에서 이뤄졌다.

우리는 일단 서울과 평양을 오가면서 이산가족 상봉행사를 하자는 입장을 전달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금강산 관광이 중단된 상태라는 점을 감안하고,이산가족들의 상봉 편의성 등을 감안할 때 이런 방식이 좋다는 이유에서다.

그러나 북한이 서울-평양 교환 상봉에 부정적 입장인 상태에서 장소 문제로 이산가족 상봉 행사가 차질을 빚어서는 안 된다는 생각도 있어 상봉 장소의 경우 우리측이 양보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상봉 규모는 지금까지 18번의 행사 중 양측에서 200명씩 나온 14차 행사를 제외하면 모두 100명씩이었다.

그러나 우리 정부는 가능한 한 많은 인원의 상봉을 이번에 추진한다는 입장을 갖고 있어 이번 회담에서 상봉 인원을 더욱 늘릴 가능성도 제기된다.

북한이 향후 남북관계를 고려해 상징적으로라도 상봉 규모의 확대에 동의해 줄 가능성도 있다.

또 상봉 정례화, 생사 및 주소 확인, 서신교환 등 과제도 논의 대상이다. 그러나 이 문제는 실무접촉보다는 적십자 본회담에서 본격적으로 논의될 가능성이 더 크다.

이밖에 우리측은 국군포로와 납북자 상봉 문제 등 인도적 사안도 언급할 것으로 예상된다.

통일부 당국자는 “지금 키 이슈(핵심 쟁점)인 이산가족 상봉 행사는 궁극적으로는 남북간 인도적 문제를 포괄적으로 해결하는 문제”라며 “(내일 회담은) 인도적 문제를 협의하는 트랙의 출발”이라고 폭넓은 의제가 다뤄질 가능성을 시사했다.

북한은 이번 이산가족 상봉 접촉을 계기로 식량과 비료, 수해복구 물자 등을 요구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점쳐진다.

과거에도 적십자 접촉에서 금강산 관광 문제를 거론했다는 점에서 이번에도 이 문제를 거론할지 여부도 관심이다. 북한은 이산상봉과 금강산 관광 연계 방침을 밝혀왔다.

이산가족 상봉은 1985년 당시 분단 후 처음으로 이뤄진 이후 2000년부터 18차례의 대면상봉과 7차례의 화상상봉을 통해 남북 양측에서 4321가족, 2만1734명이 만났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