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메디컬 스팟>
○…‘모유 수유 여성’ 치매 위험 적어

모유를 많이 먹인 여성일수록 나중에 ‘알츠하이머 치매’에 걸릴 가능성이 작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케임브리지대 생물인류학 교수 몰리 폭스 박사가 치매 환자를 포함한 70~100세의 영국 여성 8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분석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데일리메일 인터넷판과 사이언스데일리가 지난 5일 보도했다. 모유를 먹여 아이를 키운 여성은 조제유를 먹인 여성에 비해 나중 치매를 겪을 가능성이 평균 64%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폭스 박사는 밝혔다.

모유를 먹인 기간이 길수록 치매 위험은 낮아졌다. 1년 동안 모유를 먹인 여성은 4개월 모유를 먹인 여성에 비해 치매 발생률이 22% 낮았다. 또 평생 임신한 총 개월 수와 모유를 수유한 총 개월 수의 비율이 높을수록 치매 위험은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모유 수유가 치매 위험 감소와 분명히 연관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연령, 교육 수준, 첫 출산 연령, 폐경 연령, 흡연, 음주 등 치매와 관련된 다른 위험 요인을 고려했지만 이러한 연관성에는 변함이 없었다. 다만 부모나 형제 자매 중에 치매 환자가 있는 여성은 치매 가족력이 없는 여성에 비해 모유 수유에 의한 치매 위험 감소 효과가 현저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폭스 박사는 모유 수유가 치매 위험을 낮추는 데에 도움이 되는 이유로 임신 중 증가한 호르몬 프로게스테론을 모유 수유가 다시 감소시킨다는 점을 지적했다. 프로게스테론은 뇌를 보호하는 뇌 세포의 에스트로겐 수용체 민감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하나의 이유로 그는 모유 수유가 임신으로 둔화된 인슐린 민감성을 회복시켜 뇌 세포의 내당능이 높아진다는 사실을 들었다.

치매 환자의 뇌 세포는 인슐린 저항성을 보인다. 치매가 ‘3형 당뇨병’으로 불리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 연구 결과는 ‘알츠하이머병 저널’ 최신호에 발표됐다.



○…‘생마늘’ 폐암 예방에 도움

생마늘이 폐암을 예방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중국 장쑤성 질병예방통제센터 연구팀이 폐암 환자 1424명과 건강한 성인 4500명을 대상으로 식습관과 생활습관 등을 조사 분석한 결과, 생마늘을 일주일에 2번 먹는 사람은 폐암 발생률이 44%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영국의 데일리메일 인터넷판이 최근 보도했다.

폐암 최대 위험 요인인 흡연을 감안했을 때도 생마늘의 폐암 위험 감소 효과는 30%로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늘을 익혀 먹어도 같은 효과가 나오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마늘의 주성분인 알리신은 썰거나 으깰 때 나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알리신은 체내의 염증을 진정시키고 대사활동의 부산물로 세포를 손상시키는 유해 산소인 활성산소를 억제하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믿어지고 있다. 


김태열 기자/kt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