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안행부 “대체 휴일제 민간부문에도 적용"
[헤럴드경제 = 박영훈 기자]안전행정부는 8일 내년부터 대체휴일제가 도입되면 공공부문은 물론 대기업이나 중견기업, 금융기관 등 민간부문에도 적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대체휴일제는 공휴일과 일요일 등과 겹치면 이어지는 평일 하루를 쉬는 제도다.

윤종진 윤리복무관은 이날 정부 서울청사에서 설명회를 열고 “대통령령인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을 개정해 대체휴일제를 도입하면, 민간부문도 근로기준법에 따라 단체협약이나 취업규칙 등에서 이 규정을 준용해야 하기 때문에 공공부문과 마찬가지로 대체휴일제를 도입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달력제조업체도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을 적용해 달력을 만들기 때문에 내년에 대체휴일이 생기면 달력에 빨간 날로 표시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당정청은 지난 6일 회동에서 설ㆍ추석연휴 또는 어린이날이 토요일이나 공휴일과 겹치면 대체휴일을 적용하는 방안을 논의, 일단 설ㆍ추석 연휴에 대체휴일제를 도입하고 어린이날에도 적용할지는 당ㆍ정 협의와 국회 논의를 거쳐 확정하기 로 했다.

정부는 도입방안이 확정되면 이달 중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 개정안을 입법예고하고 내년부터 대체휴일제를 도입할 예정이다. 삼성그룹이나 현대차그룹·LG그룹 등 20대 대기업그룹과 금융기관은 내부규정이나 노사협약에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을 준용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대체휴일제는 이후 대기업·금융기관으로 확산되겠지만, 중소기업까지 영향을 미치려면 다소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경영환경이 열악한 중소기업이 대체휴일제를 도입할 경우 휴일근무에 따른 근로수당을 지급해야해 경영압박이 더 심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설ㆍ추석 연휴가 공휴일과 겹칠 때만 대체공휴일을 도입한다면 앞으로 10년간 9일, 연평균 0.9일씩 공휴일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 여기에 어린이날까지 추가되면 10년간 11일, 연평균 1.1일씩 공휴일이 늘어날 전망이다.

par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