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현장에서> 벤처업계에 가득한 ‘네이버 공포증’
 [헤럴드경제= 서지혜 기자] “투자자를 찾아가면 가장 먼저 듣는 말이 ‘NHN이 똑같은 서비스를 출시하면 어떻게 할 것이냐’는 질문이다.” 이른바 알람앱의 선두업체인 말랑스튜디오의 김영호 대표는 최근 공개적인 자리에서 이 같은 시장 상황을 고백했다.

김 대표만의 고민이 아니다. 최근 NHN이 캠프모바일을 세우고 모바일서비스를 공격적으로 내놓으면서 업계관계자들은 “두 세명 개발자들이 겨우 시장을 만들면 NHN이 유사한 서비스를 내놓고 프로모션한다”며 불안해한다. 다행히 NHN의 모바일 대응이 늦어 온라인처럼 시장을 독점하진 않았지만, 사실상 시간문제다. 이미 수십 억 원의 수익을 낸 중견급 벤처업체도 ‘네이버’ 공포증을 느끼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업체 대표들은 이처럼 공포에 떨면서도 정작 NHN의 사업을 법으로 막아야 하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주저한다. 10여년 인터넷 업계에 종사하며 중소업체들이 맥없이 무너지는 것을 본 베테랑도 “무분별한 규제로 발목을 잡아서는 안 된다”는 입장이다.

악수하는 김상헌 NHN대표와 최경환 새누리당 원내대표.

업계가 네이버에 이 같은 애증의 감정을 느끼는 이유는 뭘까. 벤처업체들은 NHN이 ‘라인’으로 국내 IT전문기업 중에서는 유일하게 세계시장을 선도하고 있다는 점을 높이 평가한다. 다만 글로벌 기업이라는 명성에 걸맞게 야후나 구글처럼 M&A와 투자를 통해 시장을 키웠으면 하는 아쉬움을 갖고 있다. 따라서 법적 규제 이전에 NHN의 자발적 노력이 선행되는 모습을 보고싶어 한다. 정치권이 ‘네이버 법’을 만들 기 전에 업계가 자율적으로 상생할 수 있도록 대화의 장을 마련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김상헌 NHN 대표는 지난 23일 간담회에 함께 참석한 조아라닷컴, 부동산114 대표에게 “부끄럽지만 두 대표님 말씀을 오늘 처음 들었다”고 말했다. NHN이 부동산서비스를 시작한 게 2009년이다. 피해 업체의 목소리를 이번에 처음 들었다면 분명 부끄러운 일이다. NHN은 쏟아지는 비난을 발판 삼아 ‘한국의 구글ㆍ야후’가 되기 위해서 맡아야 할 역할에 대해 고민할 시점이다. 정치권은 지금처럼 양자가 대화할 수 있는 자리를 많이 만들고, 중재하고 감시함으로써 요식행위가 아닌 진정한 상생 협의체를 구성해야 할 것이다. 

서지혜 기자/gyelov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