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곳에 사는 것만으로도 힐링(치유)이 되는 전원생활은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대별된다. 하나는 깊숙한 산골에 개별 터를 마련해 집을 지어 사는 것이고, 또 다른 하나는 여러 가구가 마을을 이루고 사는 단지형 전원주택에서 생활하는 것이다.
어찌 보면 진정한 전원생활이란 개별 터에 자기만의 집을 짓고 여유로움과 느림의 미학을 추구하며 사는 것이 아닐까(필자 역시 강원도 홍천 산골에서 이런 전원생활을 하고 있다). 하지만 도시생활이 몸에 밴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에 적응하지 못하고 되레 외로움과 무서움을 느낀다. 기존 마을의 텃세에 대한 걱정도 크다.
이렇다 보니 요즘은 여러 가구가 마을을 이루고 사는 단지형 전원생활을 선택하는 이들이 많다. 도시문화에 익숙한 사람들이 함께 어울려 공통의 커뮤니티를 이루며 생활하다 보니 “사는 재미가 쏠쏠하다”고 말한다. 또 방범과 자녀교육, 응급상황 등의 문제가 발생하면 합심해서 대처할 수 있다.
이런 전원주택단지는 개인이나 민간업체가 조성하는 단지와 정부와 지자체, 공기업 등에서 시행하는 단지로 나눌 수 있다.
민간 단지의 경우 사업주체에 대한 신뢰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아직도 쓸모없는 임야 등을 개발 가능한 것처럼 속여 분양하는 기획부동산이 여전히 있고, 자금력이 딸리는 민간업체들이 개발 도중 파산해 분양받은 사람들이 피해를 보는 사례도 드물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런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단지 조성을 하는 민간업체의 시공실적과 재무상태 등을 꼼꼼하게 따져봐야 한다.
이에 반해 정부와 지자체, 공사 등에서 주도하는 단지는 일단 공공의 신뢰성은 확보가 된다. 또한 진입로 포장, 상하수도·전기 등 기반시설 설치비를 지원해주기 때문에 그만큼 득이 된다.
대표적인 것이 전원마을 조성사업이다. 도시민의 유입을 통한 농촌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지난 2005년부터 시작된 전원마을 사업은 수도권과 광역시를 제외한 전국에 걸쳐 조성되고 있다. 사업시행자는 시장·군수를 원칙으로 하되, 시장·군수는 한국농어촌공사, 지방공기업, 마을정비조합을 사업시행자로 지정할 수 있다.
전원마을 조성사업은 동호회 등 입주예정자가 마을정비조합을 구성해 추진하는 ‘입주자 주도형’과 시·군 또는 한국농어촌공사가 주도하는 ‘공공기관 주도형’으로 분류된다. 이들 전원마을의 규모는 20가구 이상(2013년에는 10~19가구 규모의 전원마을도 시범 추진 중이다) 이어야 하며, 규모별로 기반시설비 10억~30억 원이 차등 지원된다.
강원도의 경우 지난해까지 총 8개 시·군, 18개 마을(569가구)에 360억 원(국비 188억 원, 시·군비 172억 원)이 지원됐으며, 올해 1곳에 이어 2014년 2곳의 신규 사업이 추가 진행될 예정이다.
하지만 이런 전원마을 조성사업도 문제점이 없는 건 아니다. 택지 분양 및 건축, 입주가 순조롭게 진행된 마을도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택지 분양률이 저조한 데다 무엇보다 건축-입주가 지지부진해 제대로 된 마을 형성이 어렵다. 수도권에서 멀리 떨어진 지방인 데다 땅 분양가도 주변 시세에 비해 높은 편이기 때문이다.
실례로 충북 청원군의 한 전원마을(32가구)은 도로를 내고 상하수도를 설치하는 데 국비와 지방비 15억 원이 투입되어 3년 전에 조성을 마쳤지만, 현재 몇 가구만이 실제 집을 지어 이주했을 뿐이다.
지난 2010년부터는 집을 짓지 않으면 매매가 금지됐지만, 이전에 허가받은 전원마을은 규제 대상이 아니어서 땅 매매 차익만을 거두려는 부작용도 빈발하고 있다.
국비와 지방비 15억 원이 투입된 전북 완주군의 덕천지구 전원마을(31가구) 조성사업 역시 지난 2005년 5월 착공해 2009년 4월에 부지 조성을 끝냈지만, 현재까지 입주한 세대는 단 8가구에 불과하다.
이처럼 공신력 있는 지방의 전원마을 조성사업도 건축 및 실입주를 통한 마을 활성화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다는 점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는 수도권에서 조성중인 대부분의 민간 전원단지도 마찬가지다. 이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최근 들어선 인터넷 카페 등 동호회를 중심으로 한 5~9가구 규모의 ‘미니 전원마을’이 하나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기도 하다.
이런 가운데 전원마을 조성사업 지역에서 제외된 수도권에서 공신력 있는 공기업이 처음으로 대규모 전원단지 사업에 나서 주목을 끌고 있다. 경기도시공사는 민간업체 드림사이트코리아와 공동으로 가평군 달전지구에 총 141가구 규모의 목조 전원주택단지를 조성중이다. ‘북한강 동연재’명명된 이 전원마을은 경기도시공사가 택지개발 및 도시기반시설 조성을 맡고 드림사이트코리아㈜가 주택 건축 및 분양을 맡는다.
특히 일반 전원주택단지와는 달리 등기면적에 대해서만 택지 분양가격을 적용하고 도로, 녹지는 도시계획시설로 기부체납하며, 클럽하우스 수준의 커뮤니티센터 등 공동시설은 마을에 무상으로 제공한다. 전체 면적 5만9,934㎡ 중 택지 전용면적이 3만1,453㎡로 유상공급 비율이 52.5%에 불과하다.
경기도시공사 관계자는 “이번 가평 전원단지 조성사업이 수도권 전원 주거문화를 한 단계 끌어올리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추후 수도권 내 다른 지역에서도 전원단지 사업을 추진할 계획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전원 칼럼리스트, 헤럴드경제 객원기자, cafe.naver.com/rm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