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실종 대화록, 전문가들 “관리 체계 다르다” - “이해할 수 없다"제각각
실종 논란 한 가운데 선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을 놓고 국내 기록물 관리 전문가들도 다양한 해석을 내놨다. 기록물 관리 체계를 이해못한 무지의 소치라는 비판부터, 고의적인 파기까지 다양한 가능성이 열려 있다는 것이다.

남영준 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는 18일 헤럴드경제와 인터뷰에서 검색 과정의 오류 가능성을 제기했다. 남 교수는 “지금 언론에 나온 이야기들은 체계를 잘 모르고 하는 말들”이라며 “예를 들어 녹취록 중 1번 부터 100번까지 문서가 있는데 이 중 1번 문서만 기록물로 지정했다면 번호체계가 사라지며 (다른 문서들은) 목록없는 문서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있는 것으로 간주하고 있는 것과 달리, 있는 지 없는 지 조차 모를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 경우 문서 분류 체계가 달라지면서 검색 자체가 불가능해 생긴 헤프닝인 셈이다.

검색 키워드의 문제도 거론했다. 남 교수는 “문서거 남북정상회담 같은 단어가 아닌 은어로 쓰여 있을 수 있다”며 “키워드 검색 여부를 확인하거나, 당시 관련자들이 확인하는 것이 방법”이라고 전했다.

목록 분류 방식이 일반 문서들과 다를 수 있다는 가능성도 나왔다. 김중권 광주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도 “대화록의 존재 여부가 검색이 되지 않는 것은 데이터베이스가 구축 안된 탓으로 볼 수 있다”며 “비밀문건의 경우 전산 시스템이 아닌 수기로 작성됐을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목록 검색이 어려울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해영 명지대학교 기록정보학과학전문대학원 교수도 “지정 기록물은 도서관처럼 목록을 만들고 분류를 한 것이 아니라, 묶어서 꽁꽁 싸놓은 상태라 섣부르게 있다 없다고 말할 수 없다”며 “대통령 기록물 시스템의 검색 기능이 좋지 않은 상황도 염두해 두고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부에서는 고의 파기 등 훼손 가능성도 제기했다. 문성빈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는 “국가기록원 정도라면 정상회담 대화록 정도는 못찾을 수 없다는게 상식 수준의 생각”이라며 “웬만한 키워드를 넣어서 검색할 수 없다면, 존재가치 차제가 없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 교수는 “콘텐츠 접근 권한과 검색 가능 여부는 다른 것”이라며 “개인적으로 뭔가 꿍꿍이가 있을 가능성도 의심해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최정호 기자 /choijh@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