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명약 다이제스트> 세계 두번째 나노 분말제형 기술보유…44년간 전국민 사랑받은 진해거담제
<2> 보령제약 용각산
올해로 44년을 맞는 ‘용각산’<사진>은 기침, 가래, 인후의 염증에 의한 통증, 부기, 불쾌감, 목쉼 등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는 국민 진해거담제다. 용각산은 길경가루, 세네가, 행인, 감초 등의 순수 생약성분을 미세한 나노 분말 제형으로 만들어 기관 내부에서 점액의 분비를 늘리고 섬모 속에 녹아들어가 섬모운동을 활발하게 함으로써 먼지 및 이물질, 가래를 제거하며 기침을 진정시키고 염증을 완화하는 데 뛰어난 효과를 발휘한다.

용각산의 미세한 나노 분말 제형을 만드는 기술은 용각산 원조인 일본 류카쿠산 외에 전 세계에서 보령제약이 유일하게 보유하고 있다. 1967년 첫 발매된 이후 지금까지 7100만갑 넘게 판매된 블록버스터 의약품이자, 국민적 사랑을 받는 스테디셀러 의약품이기도 하다. 진해거담제 전체 시장에서의 점유율은 50%를 넘어서고 있다.

40여년간 판매된 용각산 제품의 케이스를 죽 이으면 길이가 총 3905km로 한반도 남북(1000㎞)을 두 번 왕복하는 정도다. 내용물의 무게만도 1775t에 이른다.

1967년 6월 26일, 용각산 5만갑이 세상에 첫선을 보였다. 그러나 기대와는 달리 용각산은 전혀 팔리지 않았다. ‘일본 제품보다 품질이 떨어진다’ ‘일본 약으로 돈을 벌려 한다’는 등 갖가지 구설수에 휘말렸기 때문이다. 조악한 포장도 문제였다. 약품의 효능을 확신했던 보령제약 김승호 회장은 첫 출하물량 5만갑을 모두 수거해 새로운 용기와 포장으로 무장한 뒤, 영업사원들과 함께 소비자를 직접 찾아 거리를 누볐다. 이때부터 신문과 라디오를 통해 약효를 제대로 알리기 위한 광고가 대대적으로 시작됐다. 


당시 용각산에 투입된 광고비는 단일 품목으로서는 국내 최고 수준이었다. 출시 이듬해인 1968년에는 전체 매출(9442만원)의 32%(3056만원)를 광고에 투자했으며 몇 년간 계속 30% 내외의 광고비를 집행했다. 당시 광고시장을 주도하던 제약사들이 광고비에 투자한 비용은 대략 매출의 10~15%였다. 신생기업이 그들의 두 배를 광고에 쏟아부으니 사람들은 모두 무모하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나노 분말 제형의 특징을 살린 “이 소리가 아닙니다~”로 시작하는 명카피로 오늘날 보령제약을 있게 한 대표 제품이 되었다. 김승호 회장이 직접 만들어낸 이 카피는 우리나라의 20대 후반 이후 대부분 성인들에게 어린 시절의 아련한 향수를 더듬게 해준다.

용각산 발매 이전인 1965년 257만원, 1966년 584만원이었던 회사 총매출이 용각산을 출시한 1967년에는 전년 대비 388%가 늘어난 1980만원의 매출을 올렸다. 이듬해인 1968년에는 전년 대비 767%의 기적과도 같은 증가세를 보인 9442만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2002년 초, 신세대 젊은이들을 겨냥해 ‘용각산’의 제형과 포장을 새롭게 하고 약효를 강화해 ‘용각산 쿨’을 새롭게 선보였다. ‘용각산 쿨’은 휴대가 간편한 일회용 스틱포장으로 돼 있고 과립형이라 타액에 의해 쉽게 용해되며 물 없이 복용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산뜻한 복숭아향과 블루베리향, 상쾌한 민트향과 커피민트향이 첨가돼 맛과 향이 뛰어나며, 슈퍼 멘톨과 아선약 성분을 함유해 복용 직후 시원하고 상쾌한 느낌과 함께 입냄새 제거 효과도 얻을 수 있다. 

김태열 기자/kt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