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최태원의 ‘사회적기업 사랑’ 결실…국내 최대 사회적기업 ‘행복나래’ 정부 인증
대기업 자회사의 사회적기업 변신…연 매출만 1000억원
최태원 회장 제안으로 전환 시작…2년여만에 정부 인증
사회적기업 돕는 사회적기업…새로운 모델ㆍ역할 제시



[헤럴드경제=신상윤 기자]사회적기업에 대한 최태원 SK 회장의 2년여에 걸친 정성이 결실을 맺었다. SK그룹 내 소모성 자재 구매대행 업체(MRO) 행복나래가 사회적기업으로 공식 인증, 연 매출 1000억원의 국내 최대 규모 사회적기업으로 탄생했다.

SK는 최근 행복나래가 정부의 사회적기업 인증 절차를 최종 통과, 법적으로 사회적기업의 지위를 갖게 됐다고 12일 밝혔다.

SK가 행복나래를 사회적기업으로 전환하게 된 것은 대기업 MRO에 대한 사회적 논란이 뜨겁던 2011년 8월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최 회장은 “MRO사업이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봐 달라”며 “그 대안으로 이익이 사회로 환원될 수 있는 사회적기업 형태가 어떤지 검토해 보라”고 주문했다.

최 회장은 행복나래의 산파를 자청했다. 그는 MRO사업체의 사회적기업 전환이 가능하겠냐는 주위의 따가운 시선에 맞서, 지난해 2월 직접 행복나래를 찾아 “여러 사회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대안 모델로서 행복나래가 자리잡아야 한다”고 주문, 행복나래 출범에 힘을 실어줬다.

최태원(왼쪽) SK 회장이 지난해 2월 서울 신대방동 소재 사회적기업 행복나래를 방문, 사회적기업들이 생산해 납품한 다양한 제품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제공=SK그룹]

이에 따라 행복나래는 사회적기업 전환 발표 직후부터 우수한 사회적 기업들을 발굴ㆍ육성해 양질의 MRO 상품을 납품받는 사회적기업 간 밸류 체인(value chain)을 구축해 왔다. 아울러 열악한 사회적기업 경영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실질적인 제도를 도입하는 등 노력해 왔다. 이번 정부 인증도 이러한 노력을 인정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행복나래는 ‘사회적기업 및 약자기업의 우선구매 제도’를 실시해 지금까지 총 102개 사회적기업ㆍ약자기업 협력업체의 판로 개척을 도와 사회적기업의 시장을 확대했다.

이들 기업에는 일반 기업체보다 18일 먼저 현금으로 선결제하는 시스템을 도입하는 한편 ‘사회적기업 우선구매액’도 지난해부터 올 초까지 114억원을 매입했다. 또 이들 기업을 대상으로 경영 노하우 및 기술·교육 지원, 상품 컨설팅 등 사회적기업의 본원적 경쟁력 향상을 위한 경영 지원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

행복나래는 전체 직원의 10%를 고령자, 한부모 가정, 새터민, 저소득층 등으로 정규직 채용, 취약계층을 위한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이들을 위한 채용 인원을 늘려나갈 예정이다.

이를 통해 행복나래는 ‘사회적기업 매출 증대→수익 창출→고용 확대→지속 경영’이라는 비즈니스 선순환 구조를 조성, 사회적기업 생태계 활성화에 기여할 계획이다.

SK도 행복나래가 대기업과 중소기업을 연결해주는 사회적기업 플랫폼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지원하고, 이를 통해 1ㆍ2차 협력업체들도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을 갖추게 해 대ㆍ중소기업간의 상생 구조를 공고하게 할 계획이다.

ke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