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5월 경상수지 흑자 사상최대
[헤럴드경제=서경원 기자]지난 5월 경상수지 흑자가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흑자도 16개월 연속 행진이다.

한국은행이 27일 발표한 ‘5월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지난달 경상수지는 86억4000만달러로, 종전 최대치인 지난해 11월(69억1000만달러) 기록을 훌쩍 넘어서면서 6개월만에 최고치를 경신했다.

5월 수출이 495억9000만달러로 작년 동기 대비 7.4% 늘어는데 반해 수입은 423억2000만달러로 4.8% 감소하면서 상품수지가 72억7000만달러에 달한 영향이 컸다. 상품수지 역시 사상 최대치다.

품목별(통관기준)로 보면 정보통신기기(32.1%), 반도체(17.1%), 승용차 및 부품(8.3%), 화공품(7.7%) 등의 수출이 늘었다. 반면에 선박(-34.6%), 철강제품(-8.6%) 등은 감소세를 보였다.


서비스 수지는 전월 14억5000만달러에서 11억3000만달러로 흑자폭이 축소됐다. 여행수지 적자가 4억5000만달러에서 5억8000만달러로 확대된데다가 기타서비스 수지 흑자는 11억3000만달러에서 8억5000만달러로 축소된 영향이 컸다. 다만, 운송수지 흑자는 전월 7억7000만달러에서 8억6000만달러로 늘었다. 기타서비스 수지의 흑자액 감소는 지적재산권 등 사용료 적자가 전월 9000만달러에서 3억4000만달러로 늘고 사업서비스 적자도 1억4000만달러에서 3억1000만달러로 확대됐기 때문이다.

이로써 올해 들어 1월부터 5월까지의 경상수지 흑자액은 225억4000만달러로 늘었다. 상품ㆍ서비스의 거래가 없는 자본 유출입을 보여주는 금융계정은 유출초 규모가 4월 25억7000만달러에서 115억8000만달러로 증가했다.

김영배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이날 “가격 하락에 따라 원자재 수입이 줄면서 수입 증가세가 둔화된게 경상수지 개선에 큰 동인이 된 것이 사실이지만 불황형 흑자라곤 볼 수 없다”며 “6월에도 반기말마다 무역외 부분의 마이너스 요인이 통상 있어왔기 때문에 5월엔 미치지 못하더라도 상당폭의 (경사수지) 흑자 기조는 유지될 것”이라고 밝혔다. 6월 수출 증가율이 전년대비 마이너스를 기록할 것이란 전망에 대해선 “10~20%로 큰 폭의 마이너스라면 문제가 되겠지만, 1~2% 수준일 것으로 보이고 일평균으로 따지면 21억 달러는 나올 것으로 보여 마이너스 부호에 꼭 집착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고 말했다.

gi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