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뜨는 ‘대구’ 지는 ‘부산’?…왜?
[헤럴드경제=윤현종 기자]지방부동산 열기가 부산에서 대구로 옮겨가고 있다. 25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전국의 부동산 경기침체 속에서도 올해대구 아파트 매매가격은 21일 기준 작년 말보다 3.74% 상승했다. 이같은 상승률은 전국 광역자치단체 중 최고 수준으로 같은 기간 서울과 부산 아파트 매매가격이 각각 1.35%, 0.21% 떨어진 것과 대조적이다.

지난 2011년 분양 열풍을 일으키며 지방 아파트시장을 선도했던 부산지역이 서서히 내리막길을 걷자 대구가 지방 부동산 열풍의 바톤을 이어받은 모양새다. 2011년 말과 비교한 아파트 매매가는 대구가 무려 8.02% 오른 반면 부산은 1.49% 내렸다. 같은 기간 서울 아파트 가격은 7.64%, 전국은 4.04% 각각 하락했다.

아파트 전세가격 변동률도 명암이 엇갈렸다. 올해 아파트 전셋값 상승률은 대구가 4.1%로, 부산 1.54%의 3배에 육박했다. 2011년 말에서 현재까지 아파트 전세가격은 대구는 무려 14.32% 올랐으나 부산은 1.6% 오르는데 그쳤다. 전문가들은 두 지역 아파트시장의 명암이 엇갈린 것을 부산지역에 아파트가 과잉공급되면서 부동산 열풍의 중심축이 대구로 옮겨갔다고 분석했다.

부산 아파트 가격은 2011년 한해 14% 올라 정점을 찍었으나 과잉 공급에 발목이 잡혀 작년에 1.14% 하락했다. 반면 대구는 물량 부족으로 전세와 매맷가, 분양시장 등이 트리플 호조세다. 대구가 정치적 고향인 박근혜 정부에 대한 기대감과 동대구역세권 개발, 혁신도시, 대구국가산업단지 조성 등 개발 호재가 풍부한데다 저평가 인식까지 겹치면서 투자자가 몰리는 것도 이같은 상승세에 힘을 보태고 있다.

입주 물량은 부산이 2012년 1만3508가구, 2013년 2만488가구, 2014년 1만7343가구에 달한 반면 대구는 각각 4384가구, 7908가구, 9577가구로 훨씬 적은 편이다. 함영진 부동산114 리서치센터장은 “한 때 호황기를 보낸 부산 아파트 시장은 공급 과잉 탓에 최근 조정을 받는 반면 대구는 공급 과잉이 해소되고 수요가 몰리면서 뒤늦게 가격이 오르고 있다”며 “4.1 대책과 개발 호재 등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말했다.

factis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