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일요일(23일) 저녁 7시37분~8시32분, 올해 가장 큰 보름달 볼 수 있다
천문연 “달 공전주기와 삭망월 차이 때문…6월 23일에는 달 가장 가깝게 접근…

12월 17일 오후 6시28분에는 지구와 달이 제일 멀리 떨어져 가장 작은 보름달”



[헤럴드경제=신상윤 기자]이번주 일요일인 오는 23일 저녁 7시37분~8시32분, 55분동안 올해 가장 큰 보름달을 볼 수 있다.

한국천문연구원 오는 23일(음력 5월 15일)에 올해 들어 가장 크게 보이는 보름달이 뜬다고 19일 밝혔다. 반대로 가장 작게 보이는 보름달은 오는 12월 17일(음력 11월 15일)에 뜬다. 두 달의 크기는 약 13% 정도 차이가 난다.

지구 상에서 달의 크기가 다르게 보이는 이유는 달이 지구 주위를 타원 궤도로 돌기 때문이다. 지구와 달 사이의 거리가 가까우면 달이 커 보이고 멀면 작게 보인다.

오는 23일 오후 8시 32분, 지구와 달의 거리는 가장 가까운 약 35만7205km로 지구-달 평균 거리보다 약 3만km 가깝다. 또 오는 12월 17일 오후 6시 28분에는 가장 먼 약 40만3187km로 평균 거리보다 약 2만km 멀어진다. 따라서 올해는 6월의 보름달이 가장 크게 보이고 12월의 보름달이 가장 작게 보이는 것이다. 


달이 지구 주변을 타원궤도로 돌며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공전 주기인 1근접월(근지점에서 근지점)은 약 27.56일 이고, 보름달에서 다음 보름달로 변하는 삭망월은 약 29.5일이다. 따라서 보름달일 때 근지점이나 원지점인 위치로 오는 주기는 규칙적이지 않기 때문에 해마다 다른 달에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최영준 천문연 박사는 “달이 지구와 가까워지면서 밀물ㆍ썰물의 양인 조석간만의 차가 평소보다 커지기는 하지만 지진이나 해일 등 자연재해는 전혀 우려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ke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